2
부산메디클럽

이창용 “피벗(통화정책 전환)효과 없다는 지적 인정”

한국은행 기재위 국감서 답변

  • 박태우 기자 yain@kookje.co.kr
  •  |   입력 : 2024-10-14 19:55:58
  •  |   본지 12면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 집값·가계대출 고려 금리인하
- 통화정책 늦었다는 주장 반박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피벗(통화정책 전환)이 늦었다는 지적에 “집값, 가계대출을 고려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하지만 피벗의 효과가 없다는 지적에는 수긍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1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며 3년2개월만에 완화 기조로 돌아섰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4일 중구 한은 본점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총재는 14일 국회 기획재정위 국정감사에 출석해 야당 의원들이 피벗이 늦었다고 지적하자 “7월부터 기준금리 인하를 고민했지만 당시 부동산 가격이 빨리 오르고 가계부채 증가 속도도 너무 빨라 시장에 잘못된 시그널을 주지 않기 위해 쉬었다가 내린 것”이라고 밝혔다.

5월부터 내수 회복을 위한 피벗을 주장해 온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견해도 반박했다. 이 총재는 “KDI처럼 (금리 인하로) 성장률만 올리는 게 중장기적으로 경제에 좋은 것인지, 경기와 금융안정 중 어디에 방점을 주느냐에 따라 생각이 다를 수 있다”며 “가계부채가 구조적으로 증가한 원인도 어느 정도 없애가면서 (피벗을) 해야 한다는 면에서 (KDI와) 시각이 다르다”고 덧붙였다.

그는 ‘정부의 주택공급, 대출관리 정책이 늦어 집값이 뛰고 피벗도 늦춰진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5, 6월 당시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데이터로 크게 나타나지 않았고, 그때만 해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연착륙이 주요 과제였던 데다 환율 변동성이 커지는 등 복합적 원인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총재는 피벗의 효과가 없다는 지적에는 “올해 상반기까지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안정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이나 가계부채가 올라가는 시점을 예측하지 못한 것에 대해 사후적으로 (의원의) 올바른 지적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은행이 대출금리를 기준금리에 따라 낮추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도 “은행들이 자산 가운데 부동산 관련 자산(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과도하게 큰 만큼 이를 줄이는 과정에서 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HJ중공업의 부활…부산경제 희망 밝혔다
  2. 2[속보] 당정, 1월 27일 설 연휴 임시공휴일 지정
  3. 3부산 20개교 야간 운영 ‘별빛 도서관’ 연다
  4. 4“조명가게 흥행에 감사…무빙2 대본작업 곧 돌입”
  5. 5허가는 유스호스텔, 운영은 고급 예식장? 꼼수영업 논란
  6. 610일 부산 -6도, 경남 -11도…주말까지 ‘북극 한파’로 꽁꽁
  7. 7독감 엎친 데 노로바이러스 덮쳤다
  8. 8[시인 최원준의 음식문화 잡학사전] <53> 제주 접짝뼈국
  9. 9부산 선결제 캠페인 민간기업 동참…1호 주자는 선보공업
  10. 10다대공장·수빅 매각 등 역경 딛고…12년 만에 흑자 전환
  1. 1[속보] 당정, 1월 27일 설 연휴 임시공휴일 지정
  2. 2崔 “역사평가 두렵다”…尹체포 불개입 고수
  3. 3국회-尹, 탄핵소추 사유 ‘내란죄 철회’ 장외전
  4. 4여야 뭇매 공수처장 “尹 체포 무산 책임통감…2차 집행 최선”
  5. 5내란 국조, 한덕수·최상목 등 증인 채택
  6. 6尹측 "기소하거나 구속영장 청구하라…법원 재판에 응할 것"
  7. 7野 “왜 경호처 방관하나”…崔대행 고발
  8. 8권영세 "민생 경제 회복 위해 27일 임시공휴일 지정 요청"
  9. 9우 의장 "대통령 법 집행 거부 참담…나라 혼란 빠뜨리지 말아야"
  10. 10법원, 尹 체포영장 재발부
  1. 1HJ중공업의 부활…부산경제 희망 밝혔다
  2. 2다대공장·수빅 매각 등 역경 딛고…12년 만에 흑자 전환
  3. 3부산도시공사, 재건축·재개발 공사비 갈등 중재한다
  4. 4부산시 전통시장·골목상권 활성화에 134억 투입
  5. 5美 한파에 국제유가 3개월 만에 최고…휘발유·경유 더 오를 듯
  6. 6동남권지원센터 오픈 넉달 만에…조선업체 사업재편 성과
  7. 7亞물류허브·공항경제권 구축 등 촘촘하고 정밀한 활용 방안 짜야
  8. 8“건설 중견기업 재무 건전성 악화…유동성 위기 고조”
  9. 9동남권 관문공항 위한 협력…정부·부울경 협의체 만들다
  10. 10정용진 우오현 허영인 회장, 트럼프 취임식 참석
  1. 1부산 20개교 야간 운영 ‘별빛 도서관’ 연다
  2. 2허가는 유스호스텔, 운영은 고급 예식장? 꼼수영업 논란
  3. 310일 부산 -6도, 경남 -11도…주말까지 ‘북극 한파’로 꽁꽁
  4. 4독감 엎친 데 노로바이러스 덮쳤다
  5. 5부산 선결제 캠페인 민간기업 동참…1호 주자는 선보공업
  6. 6경남 진주에 2년여 만에 눈 내렸다
  7. 7부산교육청 ‘아침체인지’ 모든 학교로 확대…고교학점제 안착 지원
  8. 8무안·김해 공항 조류예방위에 조류전문가가 없다
  9. 9최윤홍 부교육감, 시교육감 재선거 출마하나
  10. 10거제시장 재선거 예비후보 14명 혼전 양상
  1. 1김혜성, 다저스 2루수 꿰차나
  2. 2허웅마저 부상…KCC 최악의 위기
  3. 3부산 아이파크, 손석용·윤민호 영입…공격력 강화
  4. 4재활 마친 이정후, 12일 미국행
  5. 5황희찬, EPL 100경기 금자탑…韓 선수 5번째
  6. 6축구협회장 선거 하루 전에 제동
  7. 7‘제2의 쌀딩크’ 김상식, 베트남서 반전 드라마
  8. 8손흥민 ‘KFA 올해의 골’ 2년 연속 수상
  9. 9상복 많은 이강인, PSG서 네 번째 우승컵
  10. 10팀 플레이 김소니아, 여자프로농구 3라운드 MVP
가덕신공항은 부산발전 새 터전
亞물류허브·공항경제권 구축 등 촘촘하고 정밀한 활용 방안 짜야
새해 부산경제 길을 묻다
“위기 때 투자하는 비대칭 전략으로 고부가 산업 선점을”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