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다주택자 세제 개편 기대에 지역 건설업계 반색

부산 주택건설협 주택경기 부양 마중물

"미분양아파트 취득세 50% 감면 등 필요"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18일 “지방에 추가적인 주택을 구입할 경우 다주택자 중과세를 폐지하겠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지역 건설업계가 환영의 뜻을 밝혔다.

부산의 한 아파트 단지 전경. 국제신문DB
대한주택건설협회 부산시회 측은 “얼어붙은 지방 주택경기 부양을 위해 다주택자 세제 개편은 꼭 필요한 대책”이라며 “지방이 고사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다주택자의 구매를 독려해야 전세 물량이 풀리고 전세 가격과 전반적인 집값도 안정된다”고 강조했다. 부산시회 측은 또 “미분양 아파트가 계속해서 쌓이고 있는 만큼 양도세 5년 면제나 취득세 50% 감면 등 파격적인 혜택이 뒤따르기를 기대한다”며 “시장의 선순환이 시작되면 막혀있던 시장 흐름도 뚫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역에서 주택을 주로 짓는 건설사도 이 같은 제안이 반갑다는 반응이다. 지역 주택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미분양이 쌓이는데 시장이 풀리지 않으니 수요자도 공급자도 움직일 생각을 하지 않는다”며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가 이어지는데 부산의 수요자들마저 서울로 쏠리는 형국이다. 지금이라도 수도권과 차별화되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쳐서 자금이 지방으로 유입되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부는 앞서 지난달 19일 지방 부동산경기 활성화를 위해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을 내놨다. 이 방안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지방 준공 후 미분양 3000가구 매입 ▷지방 준공 후 미분양 구입 시 디딤돌 대출 우대 금리 적용 ▷공사비 현실화 ▷지자체·지방 공공기관 발주 확대 ▷부산·대전·안산에 총 4조3000억 원 규모의 철도 지하화 추진 등이 담겼다.

하지만 건설업계의 반응은 시큰둥했고 한 달이 다 되도록 지방 건설경기는 미동도 하지 않는 모양새다. 이에 대한주택건설협회는 최근 정부와 금융당국에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 관련 후속 조치와 추가 대책 마련을 골자로 한 건의서를 전달했다. 주건협은 ▷지방 준공 후 미분양 매입 물량 확대 ▷제2금융권 대출 시 중소업체 보증가능 기준 완화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등록임대 허용·개발부담금 한시 감면법안의 조속처리 ▷지방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적용 유예 등을 요구했다. 또 ▷미분양 주택 취득 시 5년간 양도세 한시 감면 ▷다주택자에 대한 취득세 중과 배제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취득 시 주택 수 제외 과세특례 기간 연장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기자본비율 확충·상호금융권 대손충당금 규제 시행 유예 등을 추가 보완대책으로 제시했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대저·엄궁대교 우여곡절 끝 착공…2030년엔 만성체증 숨통
  2. 2195억 짜리 공영주차장, 정식운영 6개월 만에 ‘누더기’
  3. 3장제원 비보 부산정가 충격 “과오 떠나 동료로서 안타까워”
  4. 4[시인 최원준의 음식문화 잡학사전] <59> ‘무늬오징어’는 ‘흰꼴뚜기’
  5. 5‘재건축 대어’ 대우마리나, 신탁 아닌 조합방식에 무게
  6. 6계엄 입장 요구 농성 참여한 공무원…부산 남구, 市에 중징계 요구
  7. 7167㎞ 총알 2루타…이정후 4경기 연속 출루
  8. 8차도·인도 구분없이 난폭 질주…명지는 지금 ‘자전거와의 전쟁’
  9. 9장제원 전 의원 사망에…윤 대통령 “너무나도 가슴 아파”
  10. 10윤핵관의 핵관…무소속 당선·불출마 부침 속 58년 生 마감
  1. 1장제원 비보 부산정가 충격 “과오 떠나 동료로서 안타까워”
  2. 2장제원 전 의원 사망에…윤 대통령 “너무나도 가슴 아파”
  3. 3윤핵관의 핵관…무소속 당선·불출마 부침 속 58년 生 마감
  4. 44일 尹 탄핵선고…대한민국 향방은(종합)
  5. 5을숙도 ‘1호 국가도시공원’ 만들기, 이성권 의원이 뛴다
  6. 6전원일치면 이유부터 낭독 관례…의견 갈리면 주문 읽어(종합)
  7. 7與 “헌재, 공정한 결정 기대…기각” 野 “윤석열 만장일치 파면 확신”(종합)
  8. 8韓대행 “‘헌재의 시간’ 지나 ‘국민의 시간’…어떤 결정도 받아들여야”
  9. 9韓 대행, 상법 개정안에 거부권…野 “소액주주 권리 짓밟는 폭거”(종합)
  10. 10尹선고 앞 각국 대사관도 초비상…체류 자국민에 잇단 ‘주의령’
  1. 1‘재건축 대어’ 대우마리나, 신탁 아닌 조합방식에 무게
  2. 2금감원장 “尹이라면 상법 개정안 거부 안 했을 것”…사의 시사
  3. 3부산 中企에 최대 9억 운전자금…관세피해 지원 강화한다
  4. 4“거부권 반대” 이복현 금감원장 거취 촉각
  5. 5디지털화폐 체험하고 경품선물도 받으세요
  6. 6금감원 “MBK, 홈플 신용등급 강등 알고 회생 진행한 정황”
  7. 73월 소비자물가 3개월 연속 2%대 상승…가공식품 등 고공행진
  8. 8실손 비중증 비급여 자부담 50%로↑…보상 한도는 일당 20만 원으로 제한
  9. 9“여성기업인 권익보호 앞장…경영컨설팅 등 지원”
  10. 10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 공사 속도 붙는다… 2공구에 쌍용·극동 응찰
  1. 1대저·엄궁대교 우여곡절 끝 착공…2030년엔 만성체증 숨통
  2. 2195억 짜리 공영주차장, 정식운영 6개월 만에 ‘누더기’
  3. 3계엄 입장 요구 농성 참여한 공무원…부산 남구, 市에 중징계 요구
  4. 4차도·인도 구분없이 난폭 질주…명지는 지금 ‘자전거와의 전쟁’
  5. 52일 부산교육감 재선거…중도층 투표율이 당락 가른다
  6. 6‘부도’ 김해중앙병원, 김해복음병원이 새주인
  7. 7전국 日뇌염모기주의보
  8. 8구장 안전사고 책임은 구단? 지자체? 경찰, 중처법 수사 착수
  9. 9부산시 올해 2조 투입, 일자리 19만2000개 만든다
  10. 10부산시설공단, 부산시민공원 개장 11주년 다채로운 문화콘텐츠 수놓는다
  1. 1167㎞ 총알 2루타…이정후 4경기 연속 출루
  2. 2양키스 1경기 9홈런…‘어뢰 배트’ 화제
  3. 3레이예스 마저 2년차 징크스?
  4. 4황유민·박현경 등 퀸 대결…KLPGA 18년 만에 부산 개막전
  5. 5전북 52명 K리그 등록 최다, 아이파크 33명…U-22 13명
  6. 6헬멧 벗겨질 정도로 달린 이정후, 시즌 첫 멀티히트
  7. 7손흥민·지소연, 축구협회 올해의 선수…통산 최다 8번째 수상
  8. 8물먹은 솜방망이…‘봄데’도 옛말
  9. 9짜릿한 역전극…김효주 통산 7승
  10. 10‘누나 그늘’ 벗어난 교포 이민우
2025 해양수산 전략리포트
하역장비 자동화 위주 진행…데이터 종합 플랫폼 시급
불황을 모르는 기업
‘턱관절 치료 가전’ 정식 출시도 전에 美서 주목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