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부산아시안게임은 역대 아시안게임 중 아시안게임을 통해서 벌어들이는 마케팅 수익에서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몫이 가장 많은 대회다.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을 통해 벌어들이는 마케팅 수익 중 부산아시안게임조직위원회 몫은 전체 수익의 절반을 조금 넘는 54.7%다. 총 수익의 18%는 마케팅대행사가 가져가고 나머지 27.3%는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몫이다.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은 역대 아시안게임 중 마케팅 수익에서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몫이 가장 많은 대회다. 사진은 지난해 11월 12일 호텔롯데부산에서 열렸던 OCA 19차 총회 모습.
지난 98년 방콕아시안게임때 조직위는 총 수익의 80%를 챙겼다. 나머지 20% 중 대행사 몫은 15%이고 OCA 지분은 5%에 그쳤다.
부산아시안게임조직위는 대회 총 운영예산 2천6백88억원 중 수익사업으로 1천4백58억원을 조달하려고 계획했다. 이만큼 수익사업의 성과는 아시안게임 성패에 직결된다. 그럼 조직위는 왜 OCA와 대행사에게 이렇게 많은 몫을 떼일 때 적극적인 ‘제몫찾기’를 하지 못했을까.
이는 부산시와 조직위가 아시안게임 유치에만 급급했기 때문이다.올림픽과 월드컵 등을 통해 지난 80년대 말부터 스포츠마케팅이 ‘황금알을 낳은 거위’로 부상하는 것을 목격한 OCA는 지난 98년 방콕 대회 이전에 이미 2002년 대회때부터 OCA의 몫을 총 수익사업의 1/3로 정했다.OCA의 몫이 최고로 달한 것이 바로 2002년 아시안게임이었고 OCA는 부산시와 유치도시계약서를 작성할때 대행사 수수료도 자신들이 결정할 사항임을 적시했다.이런 사실을 알고도 당시 부산시 및 아시안게임 유치단은 역대 최악의 조건으로 아시안게임을 유치했다.
이후 OCA는 지난 98년 12월19일 조직위와 전혀 사전 협의없이 ISL을 마케팅대행사로 선정했다. 그리고 총수입금중 무려 18%를 대행사 수수료로 정했지만 조직위는 이에대해 아무런 대응을 하지 못했다.
조직위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김운용(金雲龍) 위원장이나 당시 김기재(金杞載) 시장 등은 이런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지만 유치에만 급급했다”고 당시 배경을 설명했다.
OCA헌장 제24조와 42조, 개최도시계약서 제37조 규정에는 ‘총수입금의 2/3는 조직위, 1/3은 OCA에 배분하도록 규정돼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조직위와 협의하여 결정한다’고 돼 있다. 즉 고도의 협상력과 치밀한 준비만 있으면 조직위 몫을 충분히 더 늘릴 수 있는 기회를 조직위가 살리지 못했다는 말이다.
부산 지역 체육계 한 인사는 “처음에는 아시안게임을 유치했다는 흥분에 적극적인 대응을 못했고 이후에도 김운용 위원장에 대한 맹신과 수익부문 협상에 능수능란한 OCA측 인물에 필적할 만한 전문가가 조직위에 없다는 것이 계속 끌려 갈 수밖에 없는 결과를 낳았다”고 평가했다.
OCA는 이후에도 ‘수익사업 전권이 OCA에 있다’는 논리와 ‘볼모성’ 시드니 협약 이행기금 2천만달러 몰수조건을 무기로 수익사업부문에서 조직위를 전방위적으로 압박했다. 이런 연장 선상에서 ISL 파산 이후에도 조직위는 이에 대한 책임을 OCA에 제대로 묻지 못했다.ISL파산 후속대책으로 맺은 지난 7월 쿠웨이트 양해각서도 외형만 조직위가 일부 챙긴 것으로 보이지만 알맹이는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당초 조직위는 21개 주요 휘장사업을 조직위서 넘겨받았다고 했으나 결국 조직위가 챙긴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휘장사업 대행사가 ISL에서 다른 업체로 이름만 바뀌었을 뿐이고 또 국내대행사 선정에 ‘승인 권한’을 가져왔다고 자랑했으나 실제로는 업체 선정에 조직위는 아무런 권한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조직위 한 관계자는 “대외적인 일에만 바쁜 위원장, 외풍에 흔들리는 사무총장, 쉴새 없이 바뀌는 사업분야 책임자 등 결속력을 잃어버리고 연속성 마저 없는 조직위가 어떻게 노회한 OCA를 감당할 수 있겠느냐”며 개탄했다. / 신수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