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적자·입장권 강매 논란에
- 공무원노조와 갈등 일어
경남의 대표적 축제로 자리 잡은 고성 '공룡세계엑스포'가 존폐 기로에 내몰렸다. 지역행사로 보기 드물게 성공을 거뒀다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적자 논란에 휩싸이면서 2015년 엑스포 개최 여부가 불투명해졌기 때문이다.
이학렬 고성군수는 17일 보도자료를 통해 "차기 엑스포 개최에 관한 모든 결정을 다음 군수에게 일임하고자 한다"고 선언했다. 이 군수는 "최근 고성군 공무원노조가 공개적으로 엑스포 개최에 반대 의견을 표시하는 것을 보고 더는 준비가 힘들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며 "이런 상황에서 엑스포 개최 가부를 결정하는 일이 무의미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 군수의 이 같은 발언은 2015년 엑스포 개최를 사실상 포기했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진다. 3선 제한으로 내년 지방선거에 출마하지 못하는 이 군수의 임기는 2014년 6월 완료된다. 따라서 내년 7월부터 임기가 시작되는 새 군수가 차기 엑스포를 치를 의사가 있다 하더라도 2015년 상반기에 열릴 행사를 준비하기에는 시일이 턱없이 부족하다. 또 현재의 엑스포 전담 조직은 이 군수의 뜻에 따라 해체될 공산이 크다. 이럴 경우 1년 후에 신임 군수가 행사를 위해 이 조직을 재가동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이 지역 문화계의 시각이다.
공룡 엑스포는 2006년 처음 개최된 후 3년마다 열리고 있다. 1회 대회 관람객 154만 명을 시작으로 2012년에는 178만 명이 다녀가는 등 고성군을 전국에 알리는 계기가 됐다. 이 엑스포를 통해 고성은 '공룡도시'라는 브랜드를 확고히 했다. 이 군수는 임기 중 세 차례의 행사를 모두 치러냈다.
엑스포를 둘러싼 갈등은 최근 고성군 공무원노조가 행사의 각종 문제점을 제기하면서 불거졌다.
노조는 2012년 엑스포 때 1억 원의 흑자가 났다는 군의 발표와 달리 인건비 등을 포함하면 49억 원의 적자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또 입장권 강매로 관련업체와 공무원의 부담이 가중되는 데다 자치단체장의 치적사업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행사의 성과가 과대포장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조는 "지난 3번의 엑스포 결과를 한 점 남김없이 군민에게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고성을 알리기 위한 큰 행사에 적자냐 흑자냐를 따지는 것은 옳지 않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주민 김모 씨는 "적자 공방은 조사를 해보면 진실이 금방 드러날 일이지만 엑스포를 통해 고성이 전국에 알려진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고성 이미지 제고에 큰 역할을 한 엑스포는 계속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