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사회복지'부서에 줄서는 공무원…자격증 취득 붐에 대학원 진학도

퇴직 후 시설 재취업 수월해…부산시 인사 땐 치열한 경쟁

  • 김희국 기자
  •  |   입력 : 2016-01-19 19:46:58
  •  |   본지 3면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퇴직 공무원들의 복지시설 진출이 늘면서 부산시의 사회복지 관련 부서 인기도 치솟고 있다.

시의 한 중간 간부는 "최근 사회복지 관련 부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인사 때가 되면 경쟁이 치열하다"며 "퇴직 후에 복지시설로 옮길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이유"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런 현상은 퇴직을 앞두고 복지법인 쪽 인맥을 쌓으려는 4급 과장과 5급 팀장급에서 주로 나타나고 실무자들에게 복지 분야는 업무 강도가 높기로 유명하다"고 덧붙였다.이뿐만 아니다. 최근 공무원들 사이에서 퇴직 이후를 대비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따려는 붐까지 조성되고 있다. 복지시설장으로 가려면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이 필요하다. 2급은 인터넷 강의로 14개 과목을 이수하면 별도의 시험 없이 자격증을 받을 수 있다. 1급은 조건이 까다롭고 1년에 한 번뿐인 시험을 통과해야 하는데 지난해 합격률은 31.6%에 불과했다.

최근에는 행정대학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공무원도 증가하는 추세다. 부산대 행정대학원의 경우 5학기를 이수하고 논문을 쓰면 석사학위와 함께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을 준다. 시 공무원은 대학원 학비를 전액 지원받는데 매년 5~7명의 공무원이 입학한다. 지난해에는 7명이 들어가 공부하고 있으며, 이 중 일부는 사회복지가 아닌 다른 분야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학원에 다니는 한 5급 사무관은 "예전 사회복지 분야에서 근무했지만 지금은 다른 분야에서 일한다"며 "퇴직 후 복지시설에서 봉사하려고 공부하고 있는데 복지시설장으로 가기 위해 미리 준비하는 직원도 있다"고 설명했다.

대학원에서 복지법인 관계자와 공무원이 만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퇴직 후 시설로 옮기는 사례도 종종 발생하고 있다. 공무원 출신 한 요양시설장은 "행정대학원에 다니면서 법인 대표와 친분을 맺었다"며 "30년 넘는 공무원 경력을 발휘해보지 않겠느냐는 제의를 받고 퇴직 후 시설장을 맡게 됐다"고 밝혔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부산 남천동 삼익비치 99층 재건축 무산
  2. 29억으로 껑충 뛴 분담금에 조합 반대 “용적률 수혜도 적어”
  3. 3‘부산~자카르타’ 노선 힘들게 따냈는데…항공사 1년째 취항 외면
  4. 4부산 ‘이중섭 거리’ 핵심 빠지고, 옛 보림극장 사업 손도 못 대
  5. 5늘봄정책 재검토, 인사 물갈이…김석준 ‘새 판 짜기’ 예고
  6. 6‘악마의 유혹’ 정치테마주 주의보
  7. 74시간 52분 ‘사직 혈투’…롯데 쓰디쓴 패배
  8. 8의대 증원 여파 고신대 등 합격선 하락
  9. 9[속보] 하동 옥종에서 또 산불
  10. 10尹 탄핵 비상시국에 부산 경찰 음주운전
  1. 1운명의 60일…승부처는 중도층
  2. 2尹, 금주 서초 사저 복귀할 듯…경호 탓 제3장소 관측도(종합)
  3. 3국힘 지도부 재신임…‘장미대선’ 준비 본격화(종합)
  4. 4민주 대선 경선 ‘어대명’? 범진보, 오픈프라이머리 재차 제안
  5. 5우원식 개헌 동시 투표 주장에 민주 친명 “내란종식 우선” 반발(종합)
  6. 6국민 눈높이로 공들인 헌재 결정문…법리 넘어 통합 강조(종합)
  7. 7헌재, 계엄 위헌·위법 인정…尹 형사재판에도 여파(종합)
  8. 8조기대선 6월 3일 화요일…정부, 8일 국무회의서 확정
  9. 9조기대선 6월 3일 화요일…정부, 8일 국무회의서 확정
  10. 10승복 없는 尹, 지지층 결집 메시지(종합)
  1. 1부산 남천동 삼익비치 99층 재건축 무산
  2. 29억으로 껑충 뛴 분담금에 조합 반대 “용적률 수혜도 적어”
  3. 3‘부산~자카르타’ 노선 힘들게 따냈는데…항공사 1년째 취항 외면
  4. 4‘악마의 유혹’ 정치테마주 주의보
  5. 5키움마저…잇단 전산사고 비상
  6. 6신발업계, 해외생산 재편…철강은 단가인하 압박 받아
  7. 7윈도우10 시대 저문다…글로벌 브랜드 고성능 AI PC 선점 경쟁
  8. 8제조업 특화 ‘경남형 챗GPT’ 만든다
  9. 9고사위기 유통업계 “낡은 규제 풀어달라”
  10. 10“필터 원단 듀라필텍스, 3M보다 고성능…TSMC 납품 목표”
  1. 1부산 ‘이중섭 거리’ 핵심 빠지고, 옛 보림극장 사업 손도 못 대
  2. 2늘봄정책 재검토, 인사 물갈이…김석준 ‘새 판 짜기’ 예고
  3. 3의대 증원 여파 고신대 등 합격선 하락
  4. 4[속보] 하동 옥종에서 또 산불
  5. 5尹 탄핵 비상시국에 부산 경찰 음주운전
  6. 6헌재 다시 6인체제 되나… 18일 문형배·이미선 퇴임에 '기능마비' 우려
  7. 7기장군 안일행정에…해일대피시설 1년 넘게 준공 못해
  8. 8울주서 또 산불…대구선 진화헬기 추락, 조종사 숨져(종합)
  9. 9獨 “행정낭비 말자” 전국 교통정기권 통합…韓은 ‘따로국밥’
  10. 10의협, 尹 파면에 투쟁 본격화…20일 전국의사궐기대회 연다(종합)
  1. 14시간 52분 ‘사직 혈투’…롯데 쓰디쓴 패배
  2. 2이정후 시즌 첫 3안타, 도루…오라클 파크 열광
  3. 3극적 8m 이글…이예원, 국내 개막전 정상
  4. 4부상 이강인, PSG서 5번째 트로피
  5. 5프로농구 KCC, 시즌 막판 또 연패
  6. 6동점골 취소 불운 아이파크, 올해도 홈 약세?
  7. 7사직구장 재건축, 중앙투자심사 반려 ‘제동’
  8. 8NC, 롯데와 한솥밥 먹나?…사직구장 임시 사용 검토
  9. 9U-17 축구대표팀, 23년 만에 아시안컵 우승 도전
  10. 10박정은 감독 “BNK, 부산의 자랑이 되길” MVP 안혜지 “우승 맛 보니 한 번 더 욕심”
부산 대중교통이 갈 길 독일 정책서 배운다
獨 “행정낭비 말자” 전국 교통정기권 통합…韓은 ‘따로국밥’
난치병 환우에 새 생명을
간낭종·대장암 의심 수술비 지원 절실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