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입 비용 4600억 마련 위해선
- 공공성·사업성 확보 필요 의견
- 엑스포 지원금 활용안도 나와
부산 북항 재개발에 따른 수익금을 미군 55보급창을 공원화하는 사업의 재원으로 쓰자는 제안이 나왔다.
‘미군 55보급창 반환 범시민운동본부’는 17일 55보급창 반환을 위한 시민 대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토론회는 부산시민공원으로 탈바꿈한 옛 미군 하야리아 부대의 공원화 과정을 모델로, 55보급창의 활용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반환 재원 확보에 관한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됐다.
발제자로 나선 부산대 정주철(도시공학과) 교수는 ‘55보급창 부지 재생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정교수는 “55보급창 반환에 있어 가장 문제는 재원을 마련할 방안을 찾는 것”이라며 “공공성과 사업성을 모두 확보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55보급창 부지 매입에는 약 4600억 원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정 교수는 먼저 북항 재개발 2단계 사업의 수익금을 55보급창 부지 매입 및 공원화에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북항 재개발의 궁극적 목적은 부산 시민에게 공공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55보급창의 공원화는 이런 취지에 부합한다”며 “또 보급창의 공원화가 주변 지역의 가치를 높여 부가적인 이익을 발생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2030 등록엑스포에 지원되는 국비를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부산시는 지난 15일 ‘부산 원도심 대개조’ 비전 발표에서 55보급창에 엑스포공원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55보급창이 엑스포 유치를 위한 공간이자, 향후 공공시설의 역할을 수행하는 점을 감안하면 국비 활용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실제 대전을 비롯해 호주 브리즈번 등은 엑스포 개최 이후 부지를 공원화한 모범 사례로 꼽힌다.
이 밖에 55보급창 재생 방안으로 동천 정비사업과의 연계하거나, 부지 일부를 매각해 문현혁신도시 3단계 개발과 연계하는 방안 등이 제시됐다.
범시민운동본부 박재율 대표는 “다음 달 55보급창 반환을 위한 시민걷기대회 등이 개최될 예정이다. 앞으로도 시민 캠페인을 통해 반환 여론을 확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윤정 기자 hwangyj@kookj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