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동강유역청이라는 핑계로
- 시청 물정책국·환경정책실엔
- 검출 사실 알리지 않고 ‘쉬쉬’
- 뒤늦게 시민공개 방안 등 추진
부산시상수도사업본부가 물금취수장 원수에서 발암물질의 일종인 1,4-다이옥산이 검출된 사실을 부산시에 보고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물 정책 컨트롤타워인 부산시 물정책국도 본지 보도(국제신문 지난 21일 자 1면 등 보도) 이후에야 검출 사실을 파악했으며, 환경 정책을 총괄하는 환경정책실도 이전까지 다이옥산 검출 사실을 전혀 몰랐던 것으로 확인됐다. 시 사업소가 소속 상부기관인 시에도 함구한 것이어서 파문이 확산된다.
부산시상수도본부는 최근 발생한 물금취수장 다이옥산 검출과 관련해 경남 양산시, 낙동강유역환경청(이하 낙동강유역청)과 대책을 논의 중이라고 24일 밝혔다. 시상수도본부에 따르면 상급기관인 부산시는 이번 대책 마련을 위한 논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애초 시상수도본부는 지난 2일 물금취수장 다이옥산 검출 사실을 처음 파악한 뒤로 지난 21일까지 약 19일 동안 부산시와 관련 내용을 공유하지 않았다. 물금취수장의 실질적감독기관이 낙동강유역청이어서 굳이 부산시에 보고할 필요가 없었다는 주장이다. 다만 양산시는 다이옥산의 배출원일 가능성이 높은 산막산단이 속한 지자체여서 논의 대상에 포함했다는 설명이다.
시상수도본부 관계자는 “이번에 검출(최대치 5.5㎍/ℓ)된 다이옥산이 먹는 물 법적 기준(50㎍/ℓ)의 10분의 1 정도에 불과해 알리기보다 오염 원인을 파악하는 게 우선이라고 판단했다”며 “낙동강유역청 양산시 등과 협의해 처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과정에서 미흡함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소속 상급기관에조차 쉬쉬한 보고체계를 두고 비판의 목소리가 크다. 시상수도사업본부가 부산시가 아닌 다른 기관과 실무적 연관성이 깊더라도 상급기관인 부산시에는 기본적으로 관련 내용을 보고 했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책 마련 기관에 포함되지 못한 부산시도 뒷북 대응을 자초해 도마 위에 올랐다. 시는 지난해 1월 맑은 물 확보와 수질 관리 등 업무를 총괄하는 물정책국을 신설했는데, 이러한 ‘컨트롤타워’가 부산시민의 상수도원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다는 사실을 언론 보도를 보고 뒤늦게 알게 됐기 때문이다. 생명그물 이준경 대표는 “상수도본부가 시(물정책국)에 다이옥산이 검출됐다는 내용을 보고하지 않은 건 이해할 수 없다”며 “문제 해결을 위해 민간과 정보를 공유하고, 본청과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시상수도본부는 이번 다이옥산 검출을 계기로 유해물질과 관련된 정보공개 규정을 마련할 방침이다. 규정에는 기준치 미만의 유해물질이라도 문제의 소지가 있으면 이를 시민에 공개하는 방안을 담았다. 이근희 시상수도본부장은 “앞으로 상수도 원수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면 기준치 이하라도 투명하게 공개할 수 있는 방법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김준용 기자 jykim@kookj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