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동아대 김재일 교수, 형상기억합금 특성이용 동파방지 밸브 개발 ‘화제’

‘동파에 안전하다’와 ‘동파가 안 된다’는 중의적 의미, ‘안(安)동파’ 제품

단순한 구조와 기존 제품 대비 초저가, 시스템 확장 가능성도 큰 ‘장점’

최근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부산지역 대학 교수가 형상기억합금 특성을 이용한 겨울철 수도관 동파 방지용 제품을 시중에 내놓아 화제다.
김재일 동아대 신소재공학과 교수(동아대 기술지주회사 자회사 에쓰엠팹(주) 대표).
화제의 주인공은 동아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이자 동아대 기술지주회사 자회사인 에쓰엠팹(SMFab)(주) 대표로 있는 김재일 교수.

김 교수가 개발한 밸브는 수도 계량기와 수도 배관 장치 등 물 관련 모든 밸브에 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 써모 액츄에이터(Thermo actuator)인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했다.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이 자동으로 반응해 물을 유동/배출시켜 배관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원리다. 특히 영하 20도에서도 동파가 안 된다.

‘동파에 안전하다’와 ‘동파가 안 된다’는 중의적 의미를 담아 ‘안(安)동파’로 이름 붙여진 이 제품은 이미 상표권 등록을 마쳤으며 누수테스트와 동파 및 누설 정밀도 테스트를 통과, KOLAS 인증서 및 관련 시험성적서도 받았다.

김 교수가 내세우는 안(安)동파의 또 하나 장점은 기존 제품과 달리 단순 구조인데다 초저가라는데 있다.

‘냉매 가스’나 ‘파라핀 왁스’ 등을 써모 액츄에이터(Thermo actuator)로 사용하는 한국과 미국, 중국 등 기존 회사가 판매하는 동파 방지 제품 가격이 8만 원~10만 원대인데 비해 안(安)동파는 그 절반 정도의 가격대로 판매될 예정이다.

일(一)자로 된 ‘수도계량기용’과 티(T)자 ‘연결형’ 등 2개 제품으로 출시되는 안(安)동파는 수전용은 물론 관말 설치용, 동파방지 계량기, 옥외 소방 배관용(터널, 주차장), 연결배관 설치용(보일러, 세탁기) 등 시스템 확장도 가능하다는 점도 눈에 띈다.

동아대 기술지주회사 자회사인 에쓰엠팹은 ‘ISO 9001’, ‘KC 인증’, 상표권 등록과 국내 및 미국 특허출원 중에 있는 기술력이 뛰어난 기업이다.

최근 들어 ‘Alibaba.com(아리바바 닷 컴 : 아리바바 글로벌 바이어 발굴 플랫폼)’ 입점 추진과 러시아 에이전트를 통한 필드테스트용 샘플을 러시아에 공급하는 등 해외수출 길도 뚫고 있다.

김 교수는 “안(安)동파를 동파 방지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1등 브랜드로 꼭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지난 2006년 동아대 신소재공학과 교수로 부임한 김 교수는 동아대 링크사업단 부단장과 창업지원단장, 부산지역 창업선도대학협의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신소형재가공청정공정개발연구센터 소장, 미래형드론기술개발지원센터 소장을 맡고 있다.

부산울산지방중소기업청장 표창(2014)과 동아대 공로상(2019), 발명장려유공자부문 부산시장 표창(2020),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2020) 등을 수상했다. 이동윤 기자 dy1234@kookje.co.kr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부산 남천동 삼익비치 99층 재건축 무산
  2. 29억으로 껑충 뛴 분담금에 조합 반대 “용적률 수혜도 적어”
  3. 3‘부산~자카르타’ 노선 힘들게 따냈는데…항공사 1년째 취항 외면
  4. 4부산 ‘이중섭 거리’ 핵심 빠지고, 옛 보림극장 사업 손도 못 대
  5. 5늘봄정책 재검토, 인사 물갈이…김석준 ‘새 판 짜기’ 예고
  6. 6‘악마의 유혹’ 정치테마주 주의보
  7. 7[속보] 하동 옥종에서 또 산불
  8. 8의대 증원 여파 고신대 등 합격선 하락
  9. 94시간 52분 ‘사직 혈투’…롯데 쓰디쓴 패배
  10. 10尹 탄핵 비상시국에 부산 경찰 음주운전
  1. 1운명의 60일…승부처는 중도층
  2. 2국힘 지도부 재신임…‘장미대선’ 준비 본격화(종합)
  3. 3尹, 금주 서초 사저 복귀할 듯…경호 탓 제3장소 관측도(종합)
  4. 4민주 대선 경선 ‘어대명’? 범진보, 오픈프라이머리 재차 제안
  5. 5우원식 개헌 동시 투표 주장에 민주 친명 “내란종식 우선” 반발(종합)
  6. 6국민 눈높이로 공들인 헌재 결정문…법리 넘어 통합 강조(종합)
  7. 7헌재, 계엄 위헌·위법 인정…尹 형사재판에도 여파(종합)
  8. 8조기대선 6월 3일 화요일…정부, 8일 국무회의서 확정
  9. 9조기대선 6월 3일 화요일…정부, 8일 국무회의서 확정
  10. 10윤상현 “尹, 신당 창당 제안 많지만 배격…파면은 의연하게 받아들여”
  1. 1부산 남천동 삼익비치 99층 재건축 무산
  2. 29억으로 껑충 뛴 분담금에 조합 반대 “용적률 수혜도 적어”
  3. 3‘부산~자카르타’ 노선 힘들게 따냈는데…항공사 1년째 취항 외면
  4. 4‘악마의 유혹’ 정치테마주 주의보
  5. 5키움마저…잇단 전산사고 비상
  6. 6신발업계, 해외생산 재편…철강은 단가인하 압박 받아
  7. 7윈도우10 시대 저문다…글로벌 브랜드 고성능 AI PC 선점 경쟁
  8. 8제조업 특화 ‘경남형 챗GPT’ 만든다
  9. 9고사위기 유통업계 “낡은 규제 풀어달라”
  10. 10“필터 원단 듀라필텍스, 3M보다 고성능…TSMC 납품 목표”
  1. 1부산 ‘이중섭 거리’ 핵심 빠지고, 옛 보림극장 사업 손도 못 대
  2. 2늘봄정책 재검토, 인사 물갈이…김석준 ‘새 판 짜기’ 예고
  3. 3[속보] 하동 옥종에서 또 산불
  4. 4의대 증원 여파 고신대 등 합격선 하락
  5. 5尹 탄핵 비상시국에 부산 경찰 음주운전
  6. 6헌재 다시 6인체제 되나… 18일 문형배·이미선 퇴임에 '기능마비' 우려
  7. 7기장군 안일행정에…해일대피시설 1년 넘게 준공 못해
  8. 8울주서 또 산불…대구선 진화헬기 추락, 조종사 숨져(종합)
  9. 9獨 “행정낭비 말자” 전국 교통정기권 통합…韓은 ‘따로국밥’
  10. 10하동 옥종 산불 2단계로 격상
  1. 14시간 52분 ‘사직 혈투’…롯데 쓰디쓴 패배
  2. 2이정후 시즌 첫 3안타, 도루…오라클 파크 열광
  3. 3극적 8m 이글…이예원, 국내 개막전 정상
  4. 4부상 이강인, PSG서 5번째 트로피
  5. 5프로농구 KCC, 시즌 막판 또 연패
  6. 6동점골 취소 불운 아이파크, 올해도 홈 약세?
  7. 7존재감 없는 롯데 캡틴…"준우형 도대체 왜 그래?"
  8. 8사직구장 재건축, 중앙투자심사 반려 ‘제동’
  9. 9NC, 롯데와 한솥밥 먹나?…사직구장 임시 사용 검토
  10. 10U-17 축구대표팀, 23년 만에 아시안컵 우승 도전
부산 대중교통이 갈 길 독일 정책서 배운다
獨 “행정낭비 말자” 전국 교통정기권 통합…韓은 ‘따로국밥’
난치병 환우에 새 생명을
간낭종·대장암 의심 수술비 지원 절실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