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성큼 다가온 트라이포트(공항+항만+철도), 수도권 일극 허문다

가덕신공항 비전 UP

특별법 오늘 국회 통과 예정…지역균형발전 견인차 기대

부울경 광역교통 구축 필수, 항공·물류산업도 육성해야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가덕신공항 시대가 열린다. 26일 국회 본회의에서 최종 통과될 예정인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안’이 신호탄이다. 그와 동시에 가덕신공항은 2030 부산 월드 엑스포 유치 전인 2029년 개항 목표를 향해 역사적인 발걸음을 내딛는다. 24시간 안전한 동남권 관문공항으로서의 여정이 마침내 본궤도에 오르는 셈이다.

부산의 숙원인 가덕신공항은 수도권 일극체제(초집중화) 극복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핵심 인프라라는 점에 근본 의미가 있다. 우리나라 전체 항공화물만 해도 인천공항 한 곳에 98%가 쏠린 실정이다. 후진국을 제외하면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기형적 구조다. 지역 주민들이 인천공항을 오가면서 치르는 비용과 불편도 엄청나다. 더욱이 ‘수도권 블랙홀’은 이미 통제 불능 상태에 빠졌고, 지방소멸의 시계는 갈수록 빨라지는 추세다. 이런 구조를 깨지 않고서는 지방의 미래는 암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가덕신공항 건설은 일대 전환점이다. 관문공항의 역할은 물론 동남권, 더 나아가 남부권 균형발전의 견인차가 되어야 한다. 그 핵심은 바로 트라이포트(Tri-Port), 즉 부산항과 연계한 항만-공항-철도의 복합물류 플랫폼을 구축하고 배후에 항공물류, 신산업단지 같은 공항복합도시를 제대로 조성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광역접근 교통망 구축이 필수 요소다. 글로벌 물류, 전자상거래 기업체와 항공정비(MRO) 기반 항공산업클러스터 같은 관련 산업을 유치할 수 있는 기반도 갖춰야 한다. 여기에 신공항의 성공 여부가 달렸다.

가덕신공항 건설과 그 연계 사업 추진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 88조9420억 원 ▷부가가치유발 37조2318억 원 ▷고용유발 40만2012명으로 부산연구원은 추산했다. 하지만 이는 저절로 실현되는 게 아니다. 정부와 관련 지방자치단체가 상호 협력하고, 건설계획과 재원 조달 등이 차질없이 이뤄져야 가능하다. 구시영 선임기자

◇ 가덕신공항 특별취재단

구시영 선임기자(단장), 사회1부 유정환 차장 배지열 기자, 경제과학부 김현주·송진영 차장, 해양수산부 임은정 부장, 정치부 이병욱 차장, 서울본부 염창현 세종팀장, 서울정치부 정유선 차장 김해정 기자

▶자문위원단

전호환 전 부산대 총장(단장), 정헌영 부산대 교수, 정무섭 동아대 교수, 박영강 신공항교수회의 공동대표, 이갑준 부산상의 상근부회장, 허윤수 부산연구원 기획조정실장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부산 남천동 삼익비치 99층 재건축 무산
  2. 29억으로 껑충 뛴 분담금에 조합 반대 “용적률 수혜도 적어”
  3. 3‘부산~자카르타’ 노선 힘들게 따냈는데…항공사 1년째 취항 외면
  4. 4부산 ‘이중섭 거리’ 핵심 빠지고, 옛 보림극장 사업 손도 못 대
  5. 5늘봄정책 재검토, 인사 물갈이…김석준 ‘새 판 짜기’ 예고
  6. 64시간 52분 ‘사직 혈투’…롯데 쓰디쓴 패배
  7. 7‘악마의 유혹’ 정치테마주 주의보
  8. 8尹 탄핵 비상시국에 부산 경찰 음주운전
  9. 9의대 증원 여파 고신대 등 합격선 하락
  10. 10키움마저…잇단 전산사고 비상
  1. 1운명의 60일…승부처는 중도층
  2. 2국힘 지도부 재신임…‘장미대선’ 준비 본격화(종합)
  3. 3尹, 금주 서초 사저 복귀할 듯…경호 탓 제3장소 관측도(종합)
  4. 4민주 대선 경선 ‘어대명’? 범진보, 오픈프라이머리 재차 제안
  5. 5우원식 개헌 동시 투표 주장에 민주 친명 “내란종식 우선” 반발(종합)
  6. 6국민 눈높이로 공들인 헌재 결정문…법리 넘어 통합 강조(종합)
  7. 7헌재, 계엄 위헌·위법 인정…尹 형사재판에도 여파(종합)
  8. 8승복 없는 尹, 지지층 결집 메시지(종합)
  9. 9국민의힘, 대선경선 선관위원장에 황우여 전 비대위원장 내정
  10. 10조기대선 6월 3일 화요일…정부, 8일 국무회의서 확정
  1. 1부산 남천동 삼익비치 99층 재건축 무산
  2. 29억으로 껑충 뛴 분담금에 조합 반대 “용적률 수혜도 적어”
  3. 3‘부산~자카르타’ 노선 힘들게 따냈는데…항공사 1년째 취항 외면
  4. 4‘악마의 유혹’ 정치테마주 주의보
  5. 5키움마저…잇단 전산사고 비상
  6. 6신발업계, 해외생산 재편…철강은 단가인하 압박 받아
  7. 7윈도우10 시대 저문다…글로벌 브랜드 고성능 AI PC 선점 경쟁
  8. 8제조업 특화 ‘경남형 챗GPT’ 만든다
  9. 9고사위기 유통업계 “낡은 규제 풀어달라”
  10. 10대화면에 가성비까지, 삼성·애플 또 붙었다…태블릿 PC 패권 다툼
  1. 1부산 ‘이중섭 거리’ 핵심 빠지고, 옛 보림극장 사업 손도 못 대
  2. 2늘봄정책 재검토, 인사 물갈이…김석준 ‘새 판 짜기’ 예고
  3. 3尹 탄핵 비상시국에 부산 경찰 음주운전
  4. 4의대 증원 여파 고신대 등 합격선 하락
  5. 5기장군 안일행정에…해일대피시설 1년 넘게 준공 못해
  6. 6헌재 다시 6인체제 되나… 18일 문형배·이미선 퇴임에 '기능마비' 우려
  7. 7울주서 또 산불…대구선 진화헬기 추락, 조종사 숨져(종합)
  8. 8獨 “행정낭비 말자” 전국 교통정기권 통합…韓은 ‘따로국밥’
  9. 9의협, 尹 파면에 투쟁 본격화…20일 전국의사궐기대회 연다(종합)
  10. 10부산 북구, 『비움으로 희망을 채우는 클린하우스』추진
  1. 14시간 52분 ‘사직 혈투’…롯데 쓰디쓴 패배
  2. 2이정후 시즌 첫 3안타, 도루…오라클 파크 열광
  3. 3극적 8m 이글…이예원, 국내 개막전 정상
  4. 4프로농구 KCC, 시즌 막판 또 연패
  5. 5부상 이강인, PSG서 5번째 트로피
  6. 6동점골 취소 불운 아이파크, 올해도 홈 약세?
  7. 7사직구장 재건축, 중앙투자심사 반려 ‘제동’
  8. 8NC, 롯데와 한솥밥 먹나?…사직구장 임시 사용 검토
  9. 9U-17 축구대표팀, 23년 만에 아시안컵 우승 도전
  10. 10박정은 감독 “BNK, 부산의 자랑이 되길” MVP 안혜지 “우승 맛 보니 한 번 더 욕심”
부산 대중교통이 갈 길 독일 정책서 배운다
獨 “행정낭비 말자” 전국 교통정기권 통합…韓은 ‘따로국밥’
난치병 환우에 새 생명을
간낭종·대장암 의심 수술비 지원 절실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