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신공항 시대가 열린다. 26일 국회 본회의에서 최종 통과될 예정인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안’이 신호탄이다. 그와 동시에 가덕신공항은 2030 부산 월드 엑스포 유치 전인 2029년 개항 목표를 향해 역사적인 발걸음을 내딛는다. 24시간 안전한 동남권 관문공항으로서의 여정이 마침내 본궤도에 오르는 셈이다.
부산의 숙원인 가덕신공항은 수도권 일극체제(초집중화) 극복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핵심 인프라라는 점에 근본 의미가 있다. 우리나라 전체 항공화물만 해도 인천공항 한 곳에 98%가 쏠린 실정이다. 후진국을 제외하면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기형적 구조다. 지역 주민들이 인천공항을 오가면서 치르는 비용과 불편도 엄청나다. 더욱이 ‘수도권 블랙홀’은 이미 통제 불능 상태에 빠졌고, 지방소멸의 시계는 갈수록 빨라지는 추세다. 이런 구조를 깨지 않고서는 지방의 미래는 암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가덕신공항 건설은 일대 전환점이다. 관문공항의 역할은 물론 동남권, 더 나아가 남부권 균형발전의 견인차가 되어야 한다. 그 핵심은 바로 트라이포트(Tri-Port), 즉 부산항과 연계한 항만-공항-철도의 복합물류 플랫폼을 구축하고 배후에 항공물류, 신산업단지 같은 공항복합도시를 제대로 조성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광역접근 교통망 구축이 필수 요소다. 글로벌 물류, 전자상거래 기업체와 항공정비(MRO) 기반 항공산업클러스터 같은 관련 산업을 유치할 수 있는 기반도 갖춰야 한다. 여기에 신공항의 성공 여부가 달렸다.
가덕신공항 건설과 그 연계 사업 추진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 88조9420억 원 ▷부가가치유발 37조2318억 원 ▷고용유발 40만2012명으로 부산연구원은 추산했다. 하지만 이는 저절로 실현되는 게 아니다. 정부와 관련 지방자치단체가 상호 협력하고, 건설계획과 재원 조달 등이 차질없이 이뤄져야 가능하다. 구시영 선임기자
◇ 가덕신공항 특별취재단 |
구시영 선임기자(단장), 사회1부 유정환 차장 배지열 기자, 경제과학부 김현주·송진영 차장, 해양수산부 임은정 부장, 정치부 이병욱 차장, 서울본부 염창현 세종팀장, 서울정치부 정유선 차장 김해정 기자 |
▶자문위원단 |
전호환 전 부산대 총장(단장), 정헌영 부산대 교수, 정무섭 동아대 교수, 박영강 신공항교수회의 공동대표, 이갑준 부산상의 상근부회장, 허윤수 부산연구원 기획조정실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