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박기철의 낱말로 푸는 인문생태학]<642> 돌궐계 위구르와 몽골계 준가르

  • 박기철 경성대 광고홍보학과 교수
  •  |   입력 : 2023-12-11 19:22:53
  •  |   본지 21면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흉노 선비 갈 강 저 돌궐 투르크 철륵 설연타 유연 월지 동호 서하 알타이 카자흐 키르기스 거란 여진 만주 알타이 탕구트 퉁그스 몽골 나이만 케레이트 메르키트 타타르 티무르 토번 티벳 토욕혼 오이라트 등등등…. 중국 중원의 북방이나 서쪽과 관계된 이름이다. 이 이름들이 부족인지 민족인지 종족인지 어족인지 국가인지 헷갈린다. 하지만 이 복잡한 이름들을 딱 두 개로 대충 대강 대략 퉁 쳐서 유형화할 수 있다. ①백인종에 가까운 서쪽의 돌궐족과 ②황인종에 가까운 동쪽의 몽골족으로….

준가르가 아닌 위구르 자치구에 사는 중국인 가족.
투르크(Turk)라는 이름을 한자로 음차한 돌궐(突厥)은 중원의 북서쪽 민족을 아우르는 이름이다. 200년 가까이 돌궐제국(552~745)을 이루었던 돌궐족은 흩어져 가까운 중앙아시아는 물론 저 멀리 서쪽으로까지 이동해 아나톨리아반도까지 갔다. 그런데 이동하지 않은 돌궐족 일부가 위구르족이 된 듯하다. 위구르족은 100년 넘게 위구르제국(742~840)을 이루며 당나라를 돕기도 하고 괴롭히기도 했다. 그러나 1759년 청나라 건륭제 때 복속되고 만다. 이때 위구르 땅은 청나라 입장에서 새로운 땅이기에 신장(新疆)으로 불리었다. 1912년 청나라 멸망 후 위구르인들은 동투르키스탄이라는 독립국을 세우기도 했으나 말뿐이었다. 위구르 독립 지도자들이 탄 비행기가 의문의 추락으로 전원 사망했다. 결국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들어선 이후 신장위구르자치구로 중국에 병합되었다.

돌궐계 위구르인이 살던 위구르자치구 동쪽 지역과 겹치는 몽골의 서쪽 지역 거주의 몽골계 준가르족은 1449년에 명나라 황제를 포로로 잡을 정도로 셌다. 한때 준가르제국(1634~1758)을 이루었다. 그러나 청나라 건륭제 때 마지막 유목국가인 준가르는 지도에서 사라졌다. 건륭제가 장수들에게 보낸 지령문인 초멸정진(剿滅淨盡), 뜻 그대로 준가르인을 모두 죽여 깨끗하게 정리했다. 씨를 말렸다. 준가르족 전체 인구의 약 80%인 50만~80만 명이 학살당하거나 천연두로 죽었다는데…. 사실이라면 엄청나다.

몽골계 준가르족은 다 없어졌다고 해도 돌궐계 위구르족은 살아간다. 중국인과 얼굴도, 문화도, 종교도, 정체성도 다르다. 당연히 독립 열망이 거세다. 수년 전 필자가 위구르자치구 중심지인 우루무치를 갔을 때 무장경찰이 독립활동을 감시하고 있었다. 탱크 사진을 찍었는데 걸려서 삭제해야 했다. 지금 같으면 반간첩법으로 끌려가 핸드폰 압수당하고 조사받을 수 있다. 분위기가 싸늘했다. 반면에 정겨운 추억도 있다. 위구르자치구 한 도시 투루판에 사는 마(馬) 씨 성의 중국인이 떠오른다. 청포도 농사를 짓던 그는 더위에 지친 내가 불쌍해 보였는지 자기 집으로 들어와 쉬어 가라고 했다. 집에는 아내와 두 딸이 있었다. 마 씨 가족은 국수와 수박으로 환대했다. 위구르족 땅에 사는 중국인 마 씨는 따뜻했다. 중국인 마 씨 가족이 위구르자치구에서 행복하길 빈다. 그런데 중국 공산당이 위구르인에게 해로운 짓을 벌이면? 마 씨 가족에게도 좋을 리 없다. 가령 중국은 핵실험을 위구르자치구에서 한다. 그런 식이라면 위구르인들의 독립의지는 더욱 불타올라 투르키스탄이란 또 하나의 ‘스탄’ 국가가 건국될지도 모른다. 중국이 서북공정을 벌여 위구르를 중국 역사에 편입시키려 해도…. 아무튼 마 씨 가족을 꼭 다시 만나 이방인에게 베푼 은혜에 보답하고 싶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롯데百 부산본점 창립 30년…대대적 ‘고객 감사제’
  2. 2“챗GPT야, 지브리 스타일로 바꿔줘”…그런데 이거 문제 없을까?
  3. 3명지? 용호동? 올림픽공원? 금융자사고 부지 선정 초읽기
  4. 4김석준 부산시교육감 당선… 3년 만의 귀환(종합)
  5. 5지인에 수차례 흉기 휘둘렀는데…실형 면한 50대
  6. 6“잿더미 된 집, 새로 지으려니 빚더미 앉아…송이 채취는 보상 대상 안 돼 농가 직격탄”(종합)
  7. 7잠정 최종 투표율 22.8%…역대급 무관심 부산교육감선거(종합)
  8. 8하수 걸러 공업용수화…해수담수시설 활용안 찾았다
  9. 9故장제원 여권 조문행렬…정진석 “尹, 가슴 아프다 말해”(종합)
  10. 10피비린내 뒤로하고 영도행…지난한 세월 ‘폭싹 속았수다’
  1. 1故장제원 여권 조문행렬…정진석 “尹, 가슴 아프다 말해”(종합)
  2. 2거제시장 재선거, 민주 변광용 당선 확정
  3. 3[속보] 尹대통령 탄핵 찬성 57%·반대 35%
  4. 4[속보] 국방부 "尹 복귀해 2차 계엄 요구해도 수용 안할 것"
  5. 5코로나 백신 부작용 피해 국가보상…특별법 4년 만에 통과(종합)
  6. 6“尹탄핵 헌재결정 승복해야”…불복·극단분열 우려에 각계 촉구(종합)
  7. 7부산교육감 재선거, 김석준 ‘득표율 51.13%’ 당선… “부산 시민의 위대한 승리”
  8. 8부산교육감 재선거서 진보 단일후보 김석준 당선(종합)
  9. 9탄핵 선고 이후…‘개헌 논의’ 힘 받을까
  10. 10여 “尹 복귀 합당” 야 “파면이 상식”…동상이몽 속 승복 압박(종합)
  1. 1롯데百 부산본점 창립 30년…대대적 ‘고객 감사제’
  2. 2꽁꽁 얼어붙은 부산 채용시장…제조업 54% “올해 안 뽑을 것”
  3. 31인당 가계대출 평균 9553만 원
  4. 4진퇴양난 금감원장…사퇴반려 두고 정치권서 논란(종합)
  5. 5제24회 부산과학기술상, 과학상 신화경·공학상 강현욱·과학교사상 박송이
  6. 6“쉽고 재밌는 수업으로 아이들과 과학의 바다 풍덩”
  7. 7美 '한국 25% 상호관세' 끝내 강행…'리더십 부재' 정부 긴급회의(종합)
  8. 8“25년 신경과학 매진…뇌질환 치료에 보탬되고파”
  9. 9“비만·고령화 레이저 치료 연구로 인정받아 영광”
  10. 10대중국 디커플링 美 해운정책 기회…글로벌 톱50 물류기업, 韓 2곳 불과
  1. 1명지? 용호동? 올림픽공원? 금융자사고 부지 선정 초읽기
  2. 2김석준 부산시교육감 당선… 3년 만의 귀환(종합)
  3. 3지인에 수차례 흉기 휘둘렀는데…실형 면한 50대
  4. 4“잿더미 된 집, 새로 지으려니 빚더미 앉아…송이 채취는 보상 대상 안 돼 농가 직격탄”(종합)
  5. 5잠정 최종 투표율 22.8%…역대급 무관심 부산교육감선거(종합)
  6. 6하수 걸러 공업용수화…해수담수시설 활용안 찾았다
  7. 7피비린내 뒤로하고 영도행…지난한 세월 ‘폭싹 속았수다’
  8. 8현직 약사가 해외직구로 졸피뎀 밀수
  9. 9[속보]대법, 공직선거법 위반 홍남표 창원시장 당선무효 확정
  10. 10동부산산단 하루 3만6000t 값싼 공급…첨단업종 유치 호재
  1. 1롯데 ‘어뢰 배트’ 주문…국내 상륙 초읽기
  2. 2‘타격천재’ 이정후, 3경기 연속 2루타
  3. 3승격 노리는 아이파크…외국인 선수가 선봉
  4. 43부팀의 반란…빌레펠트, 레버쿠젠 잡았다
  5. 5167㎞ 총알 2루타…이정후 4경기 연속 출루
  6. 6양키스 1경기 9홈런…‘어뢰 배트’ 화제
  7. 7“승엽아 인자 니배끼 없다, 롯데 방망이에 불 좀 붙이도”
  8. 8레이예스 마저 2년차 징크스?
  9. 9'몬스터 월' 집어삼킨 윤동희…기지개 켠 롯데 타선
  10. 10황유민·박현경 등 퀸 대결…KLPGA 18년 만에 부산 개막전
부산 대중교통이 갈 길 독일 정책서 배운다
하루 3000원 모든 대중교통 이용…고물가 신음 獨국민 열광
위기가정 긴급 지원
치아 없어 건강 악화…틀니 시술비 절실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