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문이불여일견. 세계사를 통해서 콜럼버스에 대해 배운 바는 있지만, 어떤 느낌 같은 것은 없었다. 15세기 말 아메리카 신대륙을 발견한 공로와 더불어, 때로는 가혹한 정복자란 상반된 평가를 받기도 하는 역사적 인물이란 게, 내가 아는 전부였다. 그런데, 얼마 전 스페인의 고도 세빌리아를 여행하고서 비로소 콜럼버스라는 인물을 새롭게 만났다.
알카사르의 주랑에서도, 이사벨라 공원의 분수대 곁에서도 그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구나 캐시드럴, 즉 대성당 안에 안치된 그의 묘소를 보면서 콜럼버스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그것은 콜럼버스라는 개인의 일생에 덧붙여 스페인 역사에 나타난 세빌리아의 상징적 의미 때문에 더욱 그랬다.
세빌리아는 회교 국가와 가톨릭 국가의 영욕이 교대로 점철된 스페인의 역사를 그대로 보여주는 도시이다. 시내 곳곳에 회교 유적들과 가톨릭 유적들이 뒤섞여 있었다. 콜럼버스의 일생은 그런 역사적 배경에 깊이 영향을 받았을 수밖에 없었으리라는 점을 새삼스럽게 깨닫게 되었다. 12세기 회교도가 세운, 높이 97.4 m의 히랄드의 탑과, 스페인 최대의 15세기 고딕건축물인 캐시드럴이 나란히 붙어 있다. 캐시드럴과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는 알카사르는 회교 왕의 궁성이기도 하였지만 가톨릭 왕이 재정복한 곳이기도 하다. 아름다운 세라믹 타일들과 모자이크 등에서 아랍 문화의 빼어남을 읽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장식된 성화들과 왕족들을 그린 카펫 등은 가톨릭 예술의 아름다움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었다. 알카사르 내벽에 전시된 아랍풍의 타피스트리(벽에 거는 융단)들에도 콜럼버스의 항해 역사가 그려져 있었다.
역사책을 몇 번 읽었어도 잘 이해할 수 없었던 역사적 사실들이었다. 세빌리아 이곳저곳을 둘러보면서 500여 년 전 콜럼버스의 신세계 탐험이 바로 어제 일처럼 눈에 선하게 그려지는 것이 신기했다.
유람선을 탔다. 강변 양안의 건물들과 그리고 과달키비르 강이 대서양으로 이어지는 물길을 바라보면서, 콜럼버스가 인도항해를 위해 같은 뱃길을 따라 대서양으로 나아가던 때를 상상해보았다. 인도에 도착하는 대신 뜻밖에 아메리카 신대륙을 발견하여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게 된 콜럼버스의 생애가 어렴풋이 느껴졌다. 글로 읽는 역사가 아니라 발로 걸으며 역사를 느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뚜렷이 체험하였다. 콜럼버스는 핀타호와 니냐호를 타고 저 강물을 따라 대서양으로 나아갔을 것이다. 선착장에 세워져 있던 제법 큰 크루즈유람선을 보니 콜럼버스의 그 범선들이 카디스를 지나 대서양으로 나아가기에는 충분하였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 당시엔 지금보다 더 수량이 풍부할 수도 있었겠다.
콜럼버스가 이곳 세빌리아에서 핀타호와 니냐호를 타고 인도 항해의 첫 깃발을 올렸을 때, 배 뒷전에 바라보이는 황금의 탑을 보고는 무슨 생각에 잠겼을까 하는 느낌도 떠올랐다. 13세기 회교도에 의해 세워진 정12각형 모양의 황금의 탑은 그 시대엔 등대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건너편 강변에 있는 은색의 탑에 쇠사슬을 연결해, 과달키비르항을 지켰다고 한다.
플라멩코와 투우의 나라, 2010년 남아공 월드컵 우승국인 정열의 나라, 그곳에 있는 세빌리아 여행에서 역사를 배웠다. 유람선을 타고 과달키비르 강을 따라 흐르는 강물과 양안의 오래된 건물들을 바라보면서, 또한 여러 유적지들을 둘러보면서, 콜럼버스라는 역사적 인물을 만나게 된 것은 행운이었다. 이번 세빌리아 여행은 콜럼버스의 달걀이라는 역설에 대해 새로운 깨달음을 얻게 해 주었다.
그에 대한 역사적 평가가 어떠했던, 신세계를 향한 콜럼버스의 열정과 모험정신은 500년이 지난 오늘날도 여전히 본받을 만하지 않을까. 둥근 달걀은 세우기 어렵지만 바닥 모서리를 깬 달걀은 누구나 세우기 쉽다. 하지만 누구나 할 수 있을 것처럼 보이는 쉬운 일도 처음 시작하는 사람에겐 무척 어려운 법이다. 발상의 전환이 있어야 새로운 세계가 열리는 법이고, 그렇게 할 수 있는 사람이 위대한 것이다. 콜럼버스의 위대함을 재발견한, 뜻깊은 여행이었다.
부산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