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CEO 칼럼] 포틀랜드에서 만난 ‘살기 좋은 도시의 비밀’

로컬 브랜드·공예문화 발달, 삶의 질 높이고 다양성 촉진

부산 모모스 등 빛나는 성장…도시 발전 공동체 의식 고취

이봉순 ㈜리컨벤션 대표·㈔한국PCO협회 명예회장

  • 이봉순 ㈜리컨벤션 대표·㈔한국PCO협회 명예회장
  •  |   입력 : 2025-03-11 18:45:13
  •  |   본지 19면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살기좋은 도시를 정의하는 요소는 다양하다. 세계적인 인적 자원(HR) 및 관련 서비스 컨설팅 회사인 머서(Mercer)는 ‘생활의 질’ 조사 보고서를 통해 세계 주요 도시들을 평가한다. 머서의 평가는 주로 다국적 기업과 국제기구 직원들이 해외 주재원으로 파견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어 글로벌 허브 도시를 지향하는 부산으로서 평가지수들을 눈여겨볼 만하다.

세계적으로 살기 좋은 도시들의 공통점은 경제적 안정, 환경의 질, 사회적 포용력 등을 꼽을 수 있다. 최근에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로컬 브랜드의 힘이 도시를 더욱 매력적이고 살기 좋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로 인정받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흐름을 이끄는 대표적인 도시 중 하나가 바로 미국 포틀랜드이다. 새해 들어 포틀랜드에서 한달살기를 해보면서 걸어다니는 즐거움을 주는 도시라는 것을 느끼는 기회를 가졌다. 걸어다니면서 만나는 사람들은 처음 보는 사람에게도 웃으면서 인사를 건네주었다. 대도시에서 오랜만에 맛보는 따뜻함과 정겨움이 삶의 여유를 느끼게 했다. 걸으면서 들른 카페, 갤러리, 아트샵, 동네 도서관, 학교들, 커뮤니티 공간들이 인상적이었다. 거주하는 사람들의 친절하고 따뜻한 심성과 자연친화적인 환경은 북유럽 도시들에서 느낀 지적인 도시의 좋은 모델을 경험하게 했고 15분 도시를 실감케 했다.

포틀랜드는 ‘메이드 인 포틀랜드’ 정신으로 유명하다. 작은 로컬 기업과 공예 문화가 발달해 지역 경제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가게들을 만나면서 포틀랜드의 로컬 브랜드는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잠시 머무는 이방인에게도 독특한 매력을 제공했다.

포틀랜드가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 측면에서 높이 평가받는 이유 중 하나는 활발한 로컬 브랜드와 독립적인 사업체들이 자리잡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분위기는 다양한 창의적 활동을 장려하고, 지역 경제와 사회적 다양성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포틀랜드에는 ‘파월스 북스’(Powell’s Books)와 같은 대규모 독립 서점이 존재한다. 이 서점은 세계 최대의 독립 서점으로, 지역 문화를 대표하는 랜드마크가 되었으며, 다양한 강연과 이벤트를 통해 지역 사회와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

지역예술가가 만든 독특한 디자인의 핸드메이드 상품들과 장인의 수제제품들이 생명력 높게 각종 마켓 및 페스티벌을 통해 판매되고 있으며, 농장 직송 재료를 사용하는 로컬 레스토랑, 수제 맥주를 만드는 브루어리, 그리고 독립적인 카페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포틀랜드는 커피 문화의 중심지 중 하나로 독창적인 메뉴와 공간을 갖춘 카페들이 많아 로컬 커피 브랜드가 성장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현상은 지역 경제를 지속적으로 활성화하고 창의적인 에너지를 고무시킨다. 로컬 푸드와 카페 문화 또한 풍요롭다.

포틀랜드 주민들은 수공예, 홈 프로젝트 등 ‘Do It Yourself(DIY)’ 문화에 적극적이다. 이러한 정신은 지역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며, 지역 커뮤니티가 서로의 창의성을 존중하고 지원하는 문화를 형성케 한다. 지역 브랜드 페스티벌 또한 눈에 띈다. 포틀랜드 메이커스 페어(Portland Makers Faire), 벽화(Mural), 토요 마켓(Saturday Market) 같은 다양한 커뮤니티 이벤트와 축제들은 지역 경제 활성화와 문화적 교류에 기여를 하고 있다. 이러한 행사는 지역 사회 구성원들의 참여를 장려하고, 포틀랜드만의 독특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자전거 인프라, 친환경 에너지 사용, 공원과 같은 공공 공간의 활용이 두드러지는것도 모두 지역 사회의 참여와 로컬 브랜드들의 독창성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지역 정체성과 자부심을 바탕으로 성장한 포틀랜드의 로컬 브랜드는 단순히 경제적 이익을 넘어서, 공동체 의식을 고취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을 온 몸으로 느끼게 한다. 이 모든 것이 결합해 포틀랜드는 ‘살기 좋은 도시’라는 명성을 얻게 된 것이다.

부산은 국제적인 항구도시로서의 이점 외에도 독특한 문화와 자연 환경을 자랑한다. 부산에는 모모스커피 삼진어묵 베러먼데이 등 부산시민이 사랑하고 자부심을 느끼는 로컬 브랜드들이 샛별처럼 빛나며 성장하고 있다. 로컬 브랜드의 힘을 더욱 강화할 기회와 도전 역시 여전히 공존하고 있다.

우리 부산도 로컬 브랜드와 창의성 중심의 문화가 도시의 정신과 개성을 드러낼 날이 멀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이를 통해 지역 경제가 활기를 띠고 사회적 다양성이 확장된다면 외부에서 온 사람들에게도 살고싶은 도시로 꿈꾸게 하는 힘을 발휘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철도(부산진역~부산역) 위 ‘축구장 9개 크기’ 데크 덮어…공원·상가 등 조성(종합)
  2. 2‘1985년생’ 부산의 첫 전동차, 전시·체험관으로 변신합니다
  3. 3헬멧 벗겨질 정도로 달린 이정후, 시즌 첫 멀티히트
  4. 4먹고살려고 꿈 접은 ‘천재 문학청년’…62년만에 낸 첫 소설집
  5. 5[진료실에서] 망치로 맞은 듯 심한 두통…청년도 뇌동맥류 정밀검사 필요
  6. 6부산 줄지 않는 ‘악성 미분양’…세제 완화 등 특단책 절실(종합)
  7. 7장제원 전 의원, 어젯밤 숨진 채 발견… 경찰 “타살 혐의점 없어”
  8. 8골든블루 “매각설 사실 아니다”
  9. 9김석준 “교육정상화 적임” 정승윤 “좌파 맡아선 안돼” 최윤홍 “교육정책 전문가”
  10. 10장제원 성폭력 혐의 고소한 비서, 동영상 증거 제출(종합)
  1. 1선거법 무죄 이재명, 지지율 50% 육박(종합)
  2. 2탄핵 정국서 첫 광역단위 선거…‘尹마케팅’ 효과 여부 이목집중
  3. 3부산 여야 “표로 심판” 노골적 보혁대결 강조
  4. 4정청래 "4일 오전 11시 尹 탄핵심판 헌재 선고"(종합)
  5. 5김문수 “사장·회장 아무것도 모르는데…중대재해법 너무 처벌 위주”
  6. 6野 ‘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강행 처리…與 “韓 탄핵하면 2명 후임 지명 당정 협의”(종합)
  7. 7野, 한덕수·최상목 쌍탄핵 카드로 마은혁 임명 압박…與 “조속 尹선고를”(종합)
  8. 8'尹 탄핵선고일 지정' 외신도 긴급타전
  9. 9대통령실, 尹탄핵심판 선고기일 지정에 "차분하게 결정 기다릴 것"
  10. 10민주, 尹선고기일 지정에 "다행… 만장일치 파면 확신"
  1. 1철도(부산진역~부산역) 위 ‘축구장 9개 크기’ 데크 덮어…공원·상가 등 조성(종합)
  2. 2부산 줄지 않는 ‘악성 미분양’…세제 완화 등 특단책 절실(종합)
  3. 3골든블루 “매각설 사실 아니다”
  4. 4연 1억 쇼핑은 기본…백화점, VIP 모시기
  5. 5공매도 재개 첫날 2500선 무너진 코스피…양대 지수 3% 급락(종합)
  6. 6정부, 가덕신공항 연말 착공 재천명
  7. 7하역장비 자동화 위주 진행…데이터 종합 플랫폼 시급
  8. 8中·日 환적화물 유치…BPA 관세파고 돌파
  9. 9“30년 간 부산 대형마트 선도…상권 동반성장 모델”
  10. 10임대용 농지 범위에 종교단체·법인 보유 물량도 포함
  1. 1‘1985년생’ 부산의 첫 전동차, 전시·체험관으로 변신합니다
  2. 2장제원 전 의원, 어젯밤 숨진 채 발견… 경찰 “타살 혐의점 없어”
  3. 3김석준 “교육정상화 적임” 정승윤 “좌파 맡아선 안돼” 최윤홍 “교육정책 전문가”
  4. 4장제원 성폭력 혐의 고소한 비서, 동영상 증거 제출(종합)
  5. 5부산대·부산교대 찾은 李 부총리 “지역대 글로벌혁신 적극 지원”
  6. 6[속보] 헌법재판소 인근 3호선 안국역, 정오부터 일부 출구 폐쇄
  7. 7尹대통령 파면 또는 직무복귀 여부 4일 결정… 헌재, 생중계 허용
  8. 8중처법 위헌 땐 후폭풍…재심 속출 ‘제2의 윤창호법’ 될라
  9. 9부산 중구, 광복로 만남의 광장 바닥분수 운영으로 새로운 관광명소 기대
  10. 10부산 청년 유출 막자더니…市 공공기관 고졸채용 ‘찔끔’
  1. 1헬멧 벗겨질 정도로 달린 이정후, 시즌 첫 멀티히트
  2. 2손흥민·지소연, 축구협회 올해의 선수…통산 최다 8번째 수상
  3. 3물먹은 솜방망이…‘봄데’도 옛말
  4. 4짜릿한 역전극…김효주 통산 7승
  5. 5‘누나 그늘’ 벗어난 교포 이민우
  6. 6팬 응원에 11회 극적 동점…롯데 첫 위닝시리즈는 불발
  7. 7후반 40분 페널티킥 동점골 허용…아이파크 3연승 눈앞에서 놓쳤다
  8. 8시동 건 이정후, 첫 안타·타점·도루 신고
  9. 9프로농구 KCC, 홈 8연패 수모
  10. 10피겨 차준환, 세계선수권 7위
다시 열린 트럼프 시대
충성파로 내각 채우고 입법부까지 장악…트럼프 폭주 예고
다시 열린 트럼프 시대
美공장 지어 무역장벽 우회…‘미국통’ 등용 네트워킹 강화도
강동묵의 디톡스 [전체보기]
市 노동안전보건센터, 조속한 설립 필요하다
강동진의 도시이야기 [전체보기]
개발의 시대, 꼭 생각해 보아야 할 것들
우리에게 절실한 성장 마인드셋
과학에세이 [전체보기]
현대과학이 만든 에너지 화수분
제로 인공지능
국제칼럼 [전체보기]
부산시교육감 재선거 사전투표소에서
시민은 ‘청년이 돌아오는 부산’을 원한다
기고 [전체보기]
에어부산 분리매각만이 합리적 해법인가?
트럼프 2기, 부산을 조선산업 지식 거점으로
기자수첩 [전체보기]
‘기관장 잔치’된 체전 폐회식…선수가 주역인 축제 만들자
김석환의 이미 도착한 미래 [전체보기]
부산은 왜 망해가고 있을까
이형(고종), 이승만, 박정희, 윤석열 - 그들의 계엄
김지윤의 우리음악 이야기 [전체보기]
세계와 통하는 힙한 판소리
조선시대 조상들의 고독 대처법
김창욱의 스포츠 탐색 [전체보기]
골프 vs 파크골프, 당신의 선택은?
뉴스와 현장 [전체보기]
북극항로의 시급성과 중요성
명함을 자르며
데스크시각 [전체보기]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것
도청도설 [전체보기]
미국 ‘국채’ 투자
화마가 휩쓴 고운사
메디칼럼 [전체보기]
산재보험, 신청을 늦게 하는 이유
디지털 헬스케어와 미래의료
박상현의 끼니 [전체보기]
금정산성막걸리와 겨울 안주
사하구 노포 맛집
박지욱의 뇌력이 매력 [전체보기]
뇌력 키우기 제5원칙, 사회적 소통
뇌력 키우기 4원칙 ‘잘먹기’
사설 [전체보기]
‘안전·품질’ 재확인 가덕도신공항 확장성도 고려를
5년 만에 최대폭 하락 부산 소비…침체 극복 대안은
세상읽기 [전체보기]
건설 현장의 위험, 호흡기 질환과 직업성 암
소비가 멈추었다
이상이 칼럼 [전체보기]
양질의 지속 가능한 건강보장을 위한 개혁 방안
인구 위기 본질과 노인 연령의 합리적 조정 방안
이제명의 오션 드림 [전체보기]
무주공해(無主空海)
트럼프 2.0 그리고 대한민국 해양정책
이홍의 세상현미경 [전체보기]
트럼프의 속마음 읽기
고환율의 명령
전호환의 두잉세상 [전체보기]
주민투표로 결정되는 부산·경남행정통합
수능 폐지를 위한 10년 교육 실험
주재민의 명당을 찾아서 [전체보기]
조선의 8대 명당, 김극뉴의 묘
퇴계 이황과 서애 류성룡의 생가
차재원의 정치평설 [전체보기]
트럼프의 ‘윤석열 구하기’ 망상
문민을 국방부 장관으로!
최태호의 와인 한 잔 [전체보기]
특권의식
유효기간
하순봉의 음악이야기 [전체보기]
모리스 라벨
겨울 나그네
황정수의 그림산책 [전체보기]
시인 권구현의 ‘금강산 풍경’
‘자연’ 임신의 검정 강아지
CEO 칼럼 [전체보기]
중소기업, 해외시장으로 눈 돌려야
시민을 위한 디자인 수도 부산의 꿈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