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대극장 시절부터 유치진 작품에서 여주인공을 전담했던 배우 김선영. |
제 1회 국민연극경연대회에서 빼놓을 없는 사람으로 유치진이 있다. 유치진은 우리 희곡사에서 최고의 극작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작가 겸 연출가다. 유치진은 1935년 이후 극연을 실질적으로 지휘했으나(연출을 전담하다시피 했다), 극연(좌)이 실질적으로 해체되면서 1940년대 초반에는 고협의 활동에 가담하기도 했다. 서항석이 악극단에서 활동하고, 유치진이 고협에서 활동했다는 점을 보건대, 1940년대 초반은 신극과 신파극, 즉 대중극과 리얼리즘 연극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시점이었다고 할 수 있다.
국민연극 시대가 되면 이러한 합류의 물결이 더욱 거세진다. 유치진의 현대극장은 1941년에 창건됐는데, 이때부터 현대극장에는 다양한 인물들이 합류하기 시작했다. 신극 배우 이외에도 대중극 계열에서 활동하던 배우들도 대거 참여했다. 김선영 같은 여배우는 현대극장의 간판 여배우였는데, 그녀는 현대극장 시절부터 유치진의 작품에서 전담 여주인공을 했다. 그녀가 토월회 일맥에서 활동하다가 동양극장을 거쳤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절대 유치진과 어울릴만한 배우가 아니었다. 하지만 이 시기에 접어들면 유치진 역시 이러한 시대의 물결을 받아들이는 인상이었다.
사실 유치진은 일찍부터 전문 배우의 기용을 주장한 바 있고, 대극장 연극·친근한 연극을 강조하면서, 연극을 관객 본위로 창작·공연·제작·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창한 바 있다. 국민연극시대는 이러한 유치진의 소망대로, 그는 전문 배우들과 작품 활동을 할 수 있었으며, 관객과 흥행을 고려하는 극단을 책임지는 위치로 올라서야 했기 때문이다. 그 극단이 현대극장이다.
현대극장은 식민지 시대에 적극적으로 친일극을 제작·공연한 극단이기도 했다. 유치진은 한 회고의 글을 통해, 현대극장을 창립하고, 친일 행각을 벌이게 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 바 있다. 1940년 서울 종로서 고등계 형사 김봉관은 "'너희들 극예술연구회 간사 함대훈, 서항석, 이헌구, 이하윤, 모윤숙 등은 일당이 되어 문단의 한 구석까지도 더럽히고 있음을 세상이 다 아는 사실이다. 나는 너희들을 일망타진하고 말테다'라고 했다. 나(유치진:인용자)는 각 동지들에게 재빨리 검거선풍이 불어올 것을 예고했다. 함대훈 형은 매우 당황한 얼굴로 그날 밤으로 우리 집을 방문했다. '이것은 우리가 경무국에서 지도하는 연극정책('조선연극협회':인용자)에 참가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난 반동이다. 날이 새거든 星出(星出壽雄, 총독부 경무국 연극통제 담당:인용자) 사무관을 만나자는 것이다."
유치진의 말대로 하면, 조여 오는 압박에 시달리다가 현대극장은 탄생했고 자신이 현대극장 대표가 되었다. 함대훈은 국민연극연구소의 소장이 되었으며, 현대극장은 국민연극경연대회에 참가하게 되었다. 함대훈의 '국민연극의 현단계'라는 글에 보면, 국민연극이란 '건전한 국민정신 또는 국민도덕이 정당화하게 된 연극'이어야 하며, '예술지상주의가 연극이 아닌 국가목적을 달성하는 목적의식이 있는 연극'이어야 하며, '연극으로서의 고도의 연극이 구성되고, 여기 국가정신이 용해되'는 연극이어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국민도덕·목적의식·국민정신은 일본에 충성하고 일제의 정책과 논리를 따르는 '전체주의 국민도의'를 뜻한다.
현대극장의 의의를 친일·목적·국책연극의 논리로 한계지어, 1940년대 연극의 흐름으로부터 분리·폄하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현대극장이 명확하게 친일에 앞장섰고, 그러한 행위를 정당화하는 연극 논리를 규정·확산·보급·정리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리고 유치진 뿐만 아니라 극예술연구회의 많은 멤버들이 이 활동에 가담했고, 이를 정도 이상으로 지지했다는 점도 분명하다. 다만 이 당시 연극인들이 놓여 있는 고충도 함께 이해해야 한다. 그들은 무엇보다 연극을 해야 했고, 그 연극은 총독부의 강력한 통제와 압박 밑에 있었다는 점이다. 그런 의미에서 현대극장은 우리 연극사의 아픔이자 수치이기도 하지만, 어쩔 수 없는 선택이자 용기였다고도 할 수 있다.
연극평론가·부경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