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사투리의 미학 <23> 경상도의 특징어(4)

가시내는 여자아이의 친근·소박한 말

조포는 '두부를 만들다' 造泡에서 나온 말

뚜벙, 덮다의 옛말로 뚜껑의 따사로운 느낌

  • 류영남 여명중 교장
  •  |   입력 : 2005-03-31 16:28:39
  •  |   본지 39면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 가시내

'그 가시내 참 새첩더래이.'

경상도 사람임을 단번에 알 수 있는 말이다. 가시내는 '가시나, 가스나, 가수나' 등으로 쓰인다.

이 '가시내'에 대한 어원들이 흥미롭다. 첫째는 계집아이가 얌전치 못하여 여기저기 동냥이나 하고 돌아다니는 중한테나 시집보낼 아이란 '가승아(嫁僧兒)' 설이고, 둘째는 옛날에 여자가 길을 갈 때 갓을 쓴 남자의 복장으로 다니는 경우가 있었으므로 '갓쓴애'에서 왔다는 설이며, 셋째는 거짓사내, 곧 '가(假)사내' 설이다.

허황된 풀이지만 '동언고략(東言攷略)'에 실린 내용도 재미있는 또 하나의 설이다. 고려 때에 원나라 사람이 동녀(童女:계집아이)를 데려가 궁녀로 삼아 해마다 큰 폐가 되었는데, 가정(稼亭)이란 별호를 가진 이색(李穡)이 원나라 조정에 들어가 글을 올려 이를 폐지하였으므로, 사람들이 그 은혜를 고맙게 여겨 딸을 낳을 때에는 반드시 '가산아(稼産兒)', 즉 '가정이 낳은 아이'라 했다는 데에서 왔다는 것이다. 그 외에 혼인할 시기에 이른 아이란 '과시아(瓜時兒)'란 설도 있으나 다 믿을 수 없는 풀이들이다.

'가시내'란 말의 기원은 옛글에 보이는 '가스나해'(옛 글자는 발음이 비슷한 글자로 적음)인데 이는 뒤에 '가시나희'를 거쳐 '가시내'로 축약된 것으로 보인다.

어느 국어학자는 '가시내'의 '가시'는 여자나 처의 뜻이고 '내'는 태생의 뜻인 '나해'에서 왔다고 했으나, 많은 학자들은 여자나 처의 뜻인 '갓(가시)'에 아이의 옛말인 '아해'가 붙어 된 말로 보고 있는데, 확실한 어학적 풀이는 뒤로 미룰 수밖에 없다.

'가시내'는 표준어인 계집애, 곧 여자아이란 소박한 뜻을 가진 경상도 말이다. '그 계집애 예쁘더라'의 계집애보다는 '그 가시내 이뿌더라'의 '가시내'에서 우리는 더한 친근감을 느낄 수 있다.
   

◇ 조포

'조포 장수'란 말의 '조포'는 두부를 이르는 경상도 말로 '조푸' 또는 '조피'라고도 한다. 두부는 서기 전 2세기에 중국 한나라의 비운의 지식인이었던 유안(劉安)의 발명품으로, 중국이 원조이긴 하나 요리법이나 맛은 우리나라에 와서 발달했다고 한다.

세종 14년 명나라 황제가 조선에서 보낸 궁녀들의 두부 만드는 솜씨가 절묘하다며 극찬했다는 기록을 보면 우리의 두부 문화를 짐작할 수가 있다.

또, 일본에서 가장 맛있는 두부로 고치시(高知市)의 당인두부를 드는데, 그 원조가 임진왜란 당시 왜군이 진해 웅천성을 침공했을 때, 열 살 남짓한 두 자녀를 포함한 30여 명의 일족과 포로로 잡혀간 박호인(朴好仁)인 것으로 미루어 우리의 우월한 두부 문화를 가늠할 수가 있다.

두부(豆腐)는 글자대로라면 '콩 썩은 것' 정도로 해석되나, 두부의 '부'는 '썩은'보다는 '삭은'의 뜻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물론 두부는 콩을 갈아 응고시킨 것이므로 콩이 '삭은 것'은 아니지만 '삭다'란 말이 '썩다'와 뿌리를 같이하는 말이기에 '부'를 쓴 이유를 밝혀 보느라 '삭은'으로 해석해 본 것이다. 어쩌면 옛날에는 콩을 삭혔을지도 모를 일이다.

두부가 우리나라에 언제 전래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문헌상으로는 이색의 목은집에 '나물국 오랫동안 먹어 맛을 못 느껴/ 두부가 새로운 맛을 돋우어 주네/ 이 없는 이 먹기 좋고/ 늙는 몸 양생에 더없이 알맞다'란 시가 있음을 볼 때, 아마도 고려말에 원나라를 통해 제조법이 전래된 것 같다.

한글학회의 '우리 토박이말 사전'에서는 '조포, 조피'는 경상도 전체에서, '조푸'는 경남 지방, '조프'는 경북 지방에서 쓰는 말이라 했다.

두부는 맷돌에 간 콩을 끓일 때의 부글부글하는 모양에서 포(泡:거품)라고도 하는데, '조포'는 '두부를 만들다'란 조포(造泡)에서 온 말이다. 옛날 관가에 두부를 만들어 바치던 곳을 조포소(造泡所)라 했고, 임금의 능이나 왕세자나 세자빈의 산소인 원소(園所)에 속하여 제사에 쓰는 두부를 만들던 절을 조포사(造泡寺)라 했다.

다른 곳에서도 두부를 만들었을 것인데 경상도에서만 '조포'란 말을 쓰게 된 것은 흥미롭고도 특이한 일이라 하겠다.



◇ 뚜벙

"에미야, 밥 뚜벙 잘 덮어 두라이. 일하로 간 너거 아부지 오시몬 따신 밥 드시구로 말이다." 남편에 대한 따뜻한 마음씨를 읽을 수 있는 경상도 말이다.

오늘에 우리는 그릇의 아가리를 덮는 기구를 '뚜껑'이라 한다. 이와 비슷한 말인 '두겁'은 가늘고 긴 물건 끝에 씌우는 물건인데 '붓두껍'에서는 '두겁'이 아닌 '두껍'으로 쓰고 있어 '붓두겁'인지 '붓두껍'인지 의문을 빚어내기도 한다.

사람의 탈이나 겉모양을 말하는 '인두겁'이란 말은, 욕설로 쓰이는 '인두겁을 쓰다'란 말로 볼 때는 '두겁'과 관계가 있을 것 같으나 의미상으로는 딱 그렇다고 하기가 주저스럽다.

솥뚜껑을 경상도에서는 '소두방, 소드방, 소더뱅이, 소두벙'이라고 한다. 물론 표준어는 '소댕'이다.

소두벙의 '두벙'이나 '뚜벙'은 '덮다'의 옛말을 더듬어 보게 하는 말이다. '둡다'는 '덮다'의 옛말이다. '두벙'은 '둡다'의 '둡'에 '엉'이 붙은 '둡엉'에서 온 말이고, '뚜벙'은 된소리로 변한 말이다.

우리는 '뚜벙'이란 말에서 따사로움과 예스러움을 느낀다. '뚜벙'의 '벙'이 주는 느낌과 옛말 '둡다'의 말맛에서다. 밥 그릇을 꼭꼭 덮어두었던 '뚜벙'은 지금은 사라져가는 말이 되었으나 따뜻한 정을 덮어두는 그륵('그릇'의 경상도 말)이었다는 생각이다. 류영남 한글학회 부산지회장·여명중 교장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버스를 택시처럼 ‘타바라’ 6월부터 강서구서도 달린다
  2. 2이정후 천금 3루타…홈 관중 열광
  3. 3재개발 구역서 해제됐던 ‘괘법1’, 9년 만에 정비구역 재지정 눈앞
  4. 414차례 사상구 싱크홀, 부실 시공·감독 드러나
  5. 5가슴 먹먹한 ‘사후세계 판타지’…현실감 불어넣는 김혜자의 내공
  6. 6다시 물꼬 튼 주원초 부지 활용 논의…백병원 빅딜 이끌까
  7. 7최고 48층 주거복합단지, 범천철도차량 부지 개발 수혜
  8. 8‘파도에 흔들’ 송도 산책덱 기둥, 알고도 개방 강행한 서구
  9. 9우상혁 빗속 2m30 점프…亞선수권 선발전 우승
  10. 10부산부터 경주·대마도까지… 부산시, 묶음관광상품 내놨다
  1. 1국힘 김문수 안철수 한동훈 홍준표 2차 경선 진출
  2. 2김경수 “최대 5조 예산 지원” 김동연 “신재생 벨트 구축”…2K 호남 승부수
  3. 3이재명은 기본소득 말 아끼는데…최저소득 공약 경쟁
  4. 4尹신당 움직임에 한덕수 추대위까지…난감한 국힘
  5. 5[속보] 국민의힘 2차 경선 홍준표 ↔ 한동훈 쌍방 지목…안철수→김문수→한동훈
  6. 6안철수, 중도확장서 우위…찬탄 2명, 반탄 2명 구도 형성
  7. 7김문수 “성별 구분 없는 군가산점제 부활…여군 30%까지 확대”
  8. 8홍준표 “韓대행 출마 고려 안해…빅텐트에는 이준석 중요”
  9. 9李 “의대 정원 합리화할 것…모든 당사자 사회적 합의 노력”
  10. 10李캠프 "원전 비중 유지하되, 조금씩 줄여가야"
  1. 1재개발 구역서 해제됐던 ‘괘법1’, 9년 만에 정비구역 재지정 눈앞
  2. 2최고 48층 주거복합단지, 범천철도차량 부지 개발 수혜
  3. 3부산부터 경주·대마도까지… 부산시, 묶음관광상품 내놨다
  4. 4센텀2 첨단산단, 정부 10년 단위 종합발전계획 세운다(종합)
  5. 5캠코 내주 사장후보 선정…대선 40여 일 앞 ‘알박기’ 논란
  6. 6휘발유 40원 오른다…유류세 인하 두 달 연장하되 인하율(15%→10%) 축소(종합)
  7. 7해킹 당한 SKT, 고객정보 유출 ‘비상’(종합)
  8. 8SKT 유심 해킹 4일만에 알림 문자… 늑장 대응 논란
  9. 9“‘부산다운 건축’ 정립되면 도시경쟁력도 높아져”
  10. 10수출기업 불안 확산…‘관세대응 119’ 상담 3000건 넘었다(종합)
  1. 1버스를 택시처럼 ‘타바라’ 6월부터 강서구서도 달린다
  2. 214차례 사상구 싱크홀, 부실 시공·감독 드러나
  3. 3다시 물꼬 튼 주원초 부지 활용 논의…백병원 빅딜 이끌까
  4. 4‘파도에 흔들’ 송도 산책덱 기둥, 알고도 개방 강행한 서구
  5. 5식약처, ‘유재석 광고’ 고려은단 비타민 회수 조처… “즉시 복용 중단”
  6. 6[단독] 박극제 전 공동어시장 대표이사, '배임 혐의' 구속기로
  7. 7재건축 예정 '남천삼익비치' 3개동 사흘째 정전…300가구 불편
  8. 8부산 북구, 금빛노을브릿지-리버워크 방문객 200만 명 돌파
  9. 9李 ‘선거법 위반 혐의’ 상고심…대법 전원합의체로(종합)
  10. 10부산 동구, 부산 최초 사회적 고립 해소를 위한 동구 끼리라면사업 추진
  1. 1이정후 천금 3루타…홈 관중 열광
  2. 2우상혁 빗속 2m30 점프…亞선수권 선발전 우승
  3. 3김진욱 빈자리에 박진…진격의 롯데 이어갈까(종합)
  4. 4수영만 앞바다 대형요트 34척 열전
  5. 5크보빵에 견제구 던진 롯데…‘마!’ 먹거리에 띠부실 동봉
  6. 6한국 女골프 암흑기…세계 톱10 19년 만에 ‘0’
  7. 7이적생에서 '타격 천재'로…롯데 전민재에게 무슨 일이?
  8. 8힘 붙은 나승엽 ‘롯데 홈런왕’ 예약
  9. 9롯데-한화 경기 우천 취소…내일 치열하게 맞붙는다
  10. 10슈퍼맨 캐치 이정후…상대 호수비에 안타는 뺏겨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