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체·동호인 구역 확대 요구
- 2일 50m 해상서 익수자 구조
- 해경·119 '공 다툼' 눈살도
부산을 대표하는 서핑 명소인 송정해수욕장에서 국내·외 서퍼들이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해수욕장 개장 기간 서핑 구역을 너무 좁게 설정해 사고 위험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이런 가운데 해수욕장 안전관리를 두고 주도권 다툼을 벌인 해경과 소방본부가 해수욕장 익수자 구조를 두고 공을 다퉈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3일 해운대구에 따르면 송정해수욕장은 야영구역과 군부대 구역 중간 6번과 7번 망루 사이 30m를 레저활동 구역으로 지정했다. 해당 구역은 서핑, 윈드서핑 등 무동력 수상레저기구를 탈 수 있다. 송정해수욕장의 해변 길이는 1.2㎞로, 400m가량은 육군 53사단이 사용한다.
송정해수욕장은 2000년대 중반부터 서퍼들이 찾기 시작해 지금은 하루 평균 100여 명이 이용할 정도로 사랑받고 있다. 장비를 대여하거나 교육하는 업체가 10곳에 이를 정도로 동호인도 늘었다. 업계에 따르면 7, 8월에만 1만여 명이 송정에서 서핑 교육을 받는다.
문제는 송정이 서핑 명소로 떠오르자 주말과 휴일에 서퍼 200여 명이 한 번에 몰리면서 안전사고 위험이 크다는 것이다. 실제 태풍 '나트리'의 직접 영향권에 들기 직전 높은 파도를 즐기려는 서퍼가 몰려 최근 10여 차례 충돌사고가 있었다. 서핑보드는 길이가 3m에 달해 레저존 30m 안에서 뒤엉킨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일부 서퍼는 복잡함을 피해 50m 이상 멀리 나가기도 해 인명 사고로 이어질 우려도 높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업체와 동호인들이 최근 해운대구에 서핑존 확대를 요청했다.
서핑업체 서프짐 민경식 대표는 "구에서 할당한 레저활동 구역 30m는 서퍼 수 십명이 한꺼번에 서핑하는 것도 힘든데 윈드서핑 등 다른 무동력 기구도 들어와 서퍼와 장비가 얽히고설켜 사고가 날 수밖에 없다"며 "송정은 일반 물놀이객이 많지 않아 서핑 활성화를 위해 구역 확대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해운대구 관계자는 "소방, 해경과 상의해 30m를 설정했지만, 실제로는 50m가량을 서핑존으로 사용하고 있다"며 "특히 서퍼들은 해수욕장 개장 기간 외 10개월은 해수욕장 전체를 사용하는 만큼 개장 기간은 물놀이객에게 양보하도록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태풍 나크리가 북상하던 지난 2일 낮 12시30분께 송정해수욕장 5번 망루 앞 50m 해상에서 서핑보드를 타던 이모(29) 씨가 바다에 빠졌다가 구조됐다. 해경은 119 수상구조대와 합동으로 이 씨를 구조한 뒤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 병원으로 옮겼다고 밝혔다. 그러나 소방본부는 합동 구조가 아닌 단독 구조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