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견기업 74.0%는 올해 하반기 수출 실적이 상반기보다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10% 이상 증가를 전망한 중견기업은 22.0%에 달했다.
 |
국내 중견기업 올해 하반기 수출전망. 중견련
|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는 24일 ‘2023년 하반기 중견기업 수출 전망 및 애로 조사’ 결과에서 이같이 밝혔다. 중견련은 “중견기업들은 수출 확대 전망 요인으로 경기회복(47.3%), 신규 진출 지역 매출 신장(26.4%)에 대한 기대감을 꼽았다”라고 설명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트레일러(90.0%), 기계·장비(80.0%), 도·소매업(78.6%), 식·음료품(77.8%), 전자부품·통신장비(75.0%) 등 순으로 수출 확대를 전망한 중견기업 비중이 높았다. 조사는 지난달 12일부터 지난 4일까지 수출 중견기업 123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중견기업의 77.2%는 최소 3개 이상 국가에 진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요 수출 시장은 미국(38.2%), 중국(15.4%), 일본(11.4%), 베트남(10.6%), 유럽(8.9%) 등 순으로 조사됐다.
수출국에서 경험하는 애로로는 통관 등 행정 규제(30.1%), 반덤핑, 상계관세, 세이프가드 등 해당국 수입 규제(22.8%), 현지 법률 정보 부족(17.9%), 인증 등 기술 규제(16.3%) 등이 꼽혔다.
중견기업 수출 시장 1순위인 미국에서는 통관 등 행정 규제(25.5%), 해당국 수입 규제(25.5%), 현지 법률 정보 부족(25.5%) 등의 수출 애로가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다. ‘통관 등 행정 규제’가 중국(45.0%)과 동남아시아 및 인도(35.0%)의 1순위 수출 애로로 확인됐다.
수출 중견기업의 46.3%는 신규 시장 진출 계획을 갖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 중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하반기를 목표라고 밝힌 기업은 약 3분의 2에 달했다. 중견기업인들은 기존 시장 포화(36.8%), 신사업 확대(19.3%), 전략적 입지 확보(17.5%), 거래사와의 협업 강화(17.5%) 등을 신규 시장 개척 이유로 꼽았다.
신규 진출 목표 시장으로는 유럽(15.8%), 미국(14.0%) 등 이외에 베트남(15.8%)과 중국(12.3%), 인도(12.3%), 인도네시아(12.3%) 등 아시아 지역 국가들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왔다.
수출 실적 감소를 전망한 중견기업은 26.0%였다. 글로벌 경기둔화 지속(75.0%), 통관·인증 등 무역 장벽(9.4%), 원자재 가격 상승(9.4%)에 대한 우려가 주된 요인이었다.
수출 실적 감소를 막기 위해 중견기업들은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53.1%), 수출국 다변화(34.4%) 등 전략을 활용하면서 자체 수출 경쟁력 제고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투자를 축소하겠다는 기업은 3.1%에 불과했다.
한편 한국무역협회는 지난달 19∼23일 수출 기업 675개사를 대상으로 수출 저해 요인과 애로 사항에 관해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올해 수출이 지난해보다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은 39.5%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비슷할 것’은 32.7%, ‘작년보다 증가할 것’은 27.7%로 집계됐다. 품목별로 서비스, 미용·화장품, 자동차, 자동차 부품, 의료기기, 반도체 등 6개 품목에서 수출 증가 전망이 우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