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첨단복합지구 9년 만에 예타 통과
- 연구개발·업무·상업·주거시설 포함
- 대상지 강동동→ 대저동 변경되기도
- 창업지원허브로 서부산 클러스터 조성
- 지구내 ‘제2 벡스코’ 건립될 지 주목
# 직주 근접성 높은 생활환경 구현
- 공공주택 2025년부터 순차 분양
- 낙동강 연계 62만㎡ 녹지축 조성
- 경전철·트램역사 신설, 대저로 확장
- 부산 도심·김해 방면 교통편의 높여
2012년부터 부산 강서구에 추진됐던 부산연구개발특구(첨단복합지구) 조성 사업이 마침내 정부의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고 본궤도에 오르면서 강서구 일대의 개발 기대감이 높아진다. 특히 부산연구개발특구 활성화를 위한 배후 주거단지를 정부가 대규모로 공급하고 교통 접근성도 대폭 확충하기로 한 점이 눈길을 끈다.
 |
부산연구개발특구(첨단복합지구) 조성 예정지인 강서구 대저동 전경. 김종진 기자 kjj1761@kookje.co.kr |
■본궤도 오른 첨단복합지구 조성 사업
부산연구개발특구 조성 사업은 크게 4개 지구로 구분된다. 이번에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첨단복합지구’(강서구 대저동) 조성 사업은 산업단지를 만들어 첨단 해양플랜트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기업 연구개발 시설은 물론 업무 상업 주거시설도 들어선다. 이곳은 현 김해국제공항과 인접해 있다. 나머지 3개 지구는 ▷연구개발 융합지구(지사동 등 7개 지역) ▷생산거점지구(송정동) ▷사업화 촉진지구(미음동)로, 이미 완료됐거나 진행되고 있다.
당초 첨단복합지구는 강서구 강동동 일원에서 추진됐지만 김해공항 확장으로 인해 대저동으로 대상지가 변경됐다. 이후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2017년 개발제한구역 해제와 개발 계획, 실시 계획을 동시에 추진하는 내용으로 조사설계 용역에 착수한 뒤 2019년 1월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했다. 특히 첨단복합지구 내 조성되는 컨벤션시설의 핵심으로 ‘제2 벡스코(25.6만㎡)’가 조성될지도 관심사다. 시는 이곳에 제2 벡스코를 건립을 계획하고 있지만 국비 조달 문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부산연구개발특구와 주거단지 계획안 |
■정부 주도 주거·교통 대책 눈길
정부는 이날 연구개발특구 첨단복합지구의 자족 기능을 강화하고자 주거단지를 대거 공급하고, 도심 접근성은 물론 직주(직장과 주거지) 근접성이 높은 생활환경을 구현하겠다는 대책을 발표했다.
먼저 첨단복합지구의 남동쪽으로 공공주택 1만8000세대를 공급한다. 또 ‘창업지원허브’를 도입해 서부산권 융·복합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아울러 62만 ㎡ 규모의 공원·녹지 조성을 통해 낙동강과 연계한 녹지축도 구축할 계획이다.
부산김해경전철 역사를 신설하고 명지~에코델타시티를 경유하는 강서선(트램) 건설이 확정되면 정거장을 마련하기로 했다. 국도14호선 교통량 분산을 위한 대저로 확장과 식만~사상 간 도로(대저대교)와의 원활한 연계를 위한 평강로 확장도 이뤄진다. 이렇게 되면 부산김해경전철을 이용해 서면까지 30분 안에 도착하고 식만~사상 간 도로 등으로 부산역까지 20분 내에 도착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정부는 주민공람과 전략환경영향평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내년 상반기 지구지정을 마치고 2023년 지구계획을 수립한 뒤 2025년부터 순차적으로 입주자 모집(분양)을 한다. 공공택지 후보지는 주민공람 공고와 함께 개발예정지역으로, 주변 지역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다.
노기태 강서구청장도 정부의 이번 대책을 크게 반겼다. 노 구청장은 “부산의 균형발전을 위해서라도 대저동과 강동동 지역 개발이 시급하다. 인근의 녹지공원을 활용하고 복합 커뮤니티, 교통시설을 갖춰 부산을 대표하는 주거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송진영 배지열 기자 roll66@kookj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