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파면 선고로 자본시장이 안정을 찾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하지만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대외 리스크가 커진 상황이어서 혼란이 지속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
지난 4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 탄핵 관련 국내 뉴스와 한국 증시 관련 외신 뉴스가 방송되고 있다. 연합뉴스 |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4일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21.28포인트(0.86%) 내린 2465.42에 장을 마쳤다. 전일 대비 1.46% 하락 출발했던 코스피는 윤 전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가 시작된 직후 상승 전환해 2500선을 회복했으나 탄핵안 인용 이후 다시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은 이날 전일 대비 32.9원 떨어진 1434.1원에 마감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탄핵 선고로 국내 정치의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단기적으로는 코스피가 상승하고, 환율도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안이 인용된 2017년 3월 10일 코스피 지수는 전날 대비 0.30% 오른 2097.35에 마감했다. 당일에는 등락폭이 제한적이었지만, 이후 상승 랠리를 지속하며 3월 17일 코스피 지수는 2160선을 돌파했다. 대신증권 이경민 연구원은 “정치적 리스크가 완화되면서 환율이 안정되고, 추가 금리인하 단행이 가능할 것”이라며 “박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도 소비심리지수가 급반등세를 보인 만큼 정치적 국면 전환과 경기 회복 기대가 살아나는 가운데 금리 인하까지 가세하면서 소비 심리 및 투자 심리 회복에 힘이 실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미국의 관세정책을 포함한 대외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진 점은 리스크 요인이다.
금융당국도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운다. 김병환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4일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 회의)에 참석해 탄핵심판 선고에 따른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점검했다. 이들은 회의에서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필요하면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가능한 모든 시장안정조치를 시행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4대 금융지주도 긴급 임원회의를 갖고 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한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