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tv국제 뉴스브리핑, 과학수사대

부산경찰청 과학수사대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지난 21일 부산경찰청 과학수사대 검시관들이 부산 대신동 당구장에서 펼쳐진 살인 사건을 수사하고 있다. 

"많이 찔렸습니까?"

지난 21일 부산 대신동 당구장 여주인 살해 사건 현장. 피해자의 목이 흉기로 찔려 사망한 사건을 현장감식하고 나온 부산경찰청 과학수사대 정성군 과학수사팀장에게 피해 여성의 조카가 참담한 표정으로 물어 본다. 경찰 조사 결과 4-5분 만에 이뤄진 살인이었다. 4시간 넘게 현장감식을 했지만 사건과 용의자에 대해 얘기할 단계는 아니다. 섣불리 피해 가족에게 감식내용을 말할 수도 없다. 정 팀장은 머뭇거리다 "몇 번 찔렸다"고 했다.

부산경찰청 과학수사대는 시체들을 주로 찾아다닌다고 해서 '갈까마귀', '어둠의 자식들'이라 불린다. KCSI(경찰과학수사대) 로고가 박혀 있는 옷도 검정 색이다. 부산경찰청 과학수사대는 현장팀과 검시관, 거짓말탐지, 법최면, CCTV 감식, 프로파일러 등 총 21명이 있다. 이들은 부산 전 지역의 강력 사건 현장에 모두 출동한다. 시체들만 보니 직업병도 있다. 과학수사대 검시관 김성일 경사는 "하루에 시체만 10번 이상 볼 때가 있다. 아파트에서 투신했을 때는 아예 신체 부위가 따로 떨어져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것들을 사진 찍고 모아 놓는 게 일이다. 차에서 자살하고 부패가 진행된 사체는 정말 참혹하다. 자다가 꿈꾸면 그 현장이 보이면서 소스라치게 놀랄 때도 있다."고 말한다. 특히 잔혹한 사건 뒤 신원 확인을 위해 피해 가족을 보는 것은 곤욕이다. 죽은 사람을 보면, 산 사람도 봐야 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증거가 나오지 않아 사건이 해결되지 않을 때 과학수사대는 가장 갑갑함을 느낀다. 2014년 1월 며느리와 시어머니가 둔기에 맞아 사망한 가야동 고부살인사건은 증거를 찾기 위해 한 달 동안 현장을 찾아야 했다. 결국 피의자의 혈흔이 묻은 구두를 인근에서 찾아 사건을 해결할 수 있었다.

사건이 클수록 수사에 따른 부담도 커진다. 프로파일러 김혜선 경사는 "2010년 2월 여중생을 납치해 성폭행하고, 살해 유기한 김길태 사건은 부산경찰청장이 직접 프로파일러 분석을 지시했다"고 말했다.

부상의 위험도 있다. 김성일 경사의 손가락에는 몇 년 전 화재현장의 현장감식을 하다가 데인 흉터가 아직도 남아 있다. 김 경사는 "과학수사대 내에서 이 정도는 약과다. 절도 용의자가 유리창을 깨고 들어 온 사건현장에서, 유리창의 지문을 찾다가 벽에서 유리가 떨어져 손목 인대가 나간 동료도 있다."고 말한다. 과학수사대는 장기간 부패한 시신들의 세균감염도 항상 걱정해야 한다.

지극히 과학적인 수사대는 항상 음지와 냄새나는 곳에서 일한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기고] 부산에서 꿈을 이룬 대만 유학생, J양의 이야기
  2. 2오륙도선 예타 탈락…양당 시당 네탓 공방
  3. 3이정후 또 3안타 폭발…ESPN “NL 타격왕 예상”
  4. 4428살 기장 곰솔, 올해의 나무 선정
  5. 5韓 WBC ‘죽음의 조’…일본·대만 등과 C조
  6. 6부산해양경찰서장 서정원 총경 취임
  7. 7[속보] 이재명 37%·김문수 9%… 민주당 지지층 81% 李 택해 [한국갤럽]
  8. 8양자컴, 해양인재…‘부산형 라이즈’ 122개 사업 닻 올린다
  9. 9수로왕 만나러 가세…가야문화축제 개막
  10. 10박형준 대선 불출마…3선 연임 집중할 듯(종합)
  1. 1오륙도선 예타 탈락…양당 시당 네탓 공방
  2. 2[속보] 이재명 37%·김문수 9%… 민주당 지지층 81% 李 택해 [한국갤럽]
  3. 3박형준 대선 불출마…3선 연임 집중할 듯(종합)
  4. 4사그라들지 않는 ‘한덕수 출마설’(종합)
  5. 5부산 민주당 대선모드…전재수 “출마여부 14일까지 고심”
  6. 6국힘 대선후보 1차 경선 4인→ 2차 2인 압축(종합)
  7. 7김문수 지지와 한덕수 추대론…박수영의 두 토끼 몰이
  8. 8韓 “4년 중임 대통령제 개헌”(종합)
  9. 9尹 11일 오후 5시 관저 떠난다(종합)
  10. 10李 “먹사니즘으로 경제성장”(종합)
  1. 1“원자력·재생에너지 조화가 탄소중립의 핵심”
  2. 2봄맞이 인테리어 소품 쏟아진다
  3. 3“부산시민 공기업 해진공, 해양금융 확대”
  4. 4“부산 분산특구 지정 땐 에너지 신산업 거점 가능”
  5. 5“무탄소 풍력 발전, 지역 에너지 자립도 향상 기여”
  6. 6금양, 이의신청서 제출…상폐 위기 벗어날까
  7. 7“소형원자로 활용도 높이고 재생에너지도 확대를”
  8. 8“묻고 또 묻는 경영…반도체 테스트 부품 강자됐죠”
  9. 9국내 최대 조선해양행사 코마린 10월 22일 개막…어워드도 시상
  10. 10중국 84% 맞불 관세…WTO “세계 GDP 7% 줄어들 것”
  1. 1428살 기장 곰솔, 올해의 나무 선정
  2. 2부산해양경찰서장 서정원 총경 취임
  3. 3양자컴, 해양인재…‘부산형 라이즈’ 122개 사업 닻 올린다
  4. 4수로왕 만나러 가세…가야문화축제 개막
  5. 5“고령운전자 돌발상황 0.47초 반응 느려” 부산만 34만 명(종합)
  6. 6교육청 국·과장급 21명 교체…김석준 벌써 두 번째 인사
  7. 7“해수 에너지산업에 관심을”…“탄소중립 시민캠페인 열자”
  8. 8①폐장난감 순환 ②스마트팜 ③걷기로 환경 지키는 이들
  9. 9경남권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창원서 첫 삽
  10. 10부산시, 보호 종료된 자립 청년 보증금 등 지원
  1. 1이정후 또 3안타 폭발…ESPN “NL 타격왕 예상”
  2. 2韓 WBC ‘죽음의 조’…일본·대만 등과 C조
  3. 3정현·권순우 경기 스포원서 직관
  4. 4아이파크, 13일 홈서 이랜드와 경기
  5. 52028 LA올림픽 골프 혼성 단체전 추가
  6. 6화려한 피날레 김연경 “V리그 별 추가해 다행”
  7. 7롯데 안방은 빌려줘도, 승리는 절대 못 내줘
  8. 8아깝다 이정후, 9경기 연속안타 불발
  9. 9디펜딩 챔프가 어쩌다…KCC 초라한 성적표
  10. 10김민재의 뮌헨, UCL 4강행 먹구름
고영삼의 인생 이모작…한 번 더 현역
세계걷기여행자 김경섭 씨
부산 대중교통이 갈 길 독일 정책서 배운다
獨 “행정낭비 말자” 전국 교통정기권 통합…韓은 ‘따로국밥’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