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송신도시 입주민 불편 불보듯”
- “마을 교각공사 소음고통 연장돼”
- “주택전세 놓기 어려워 생계위협”
경남 양산시와 부산교통공사가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양산선(부산 노포~양산 북정) 개통 시기를 3년 연기하려고 개최한 주민 공청회에서 비판 의견이 쏟아졌다. 일부 공구의 시공업체 선정이 지연되는 등 개통 시기를 조절할 필요성이 사전에 감지됐는데도, 뒤늦게 공기 연장 결정을 내려 혼란을 초래했다는 지적이다.
양산시와 부산교통공사는 18일 오전 양산문화예술회관에서 대학교수와 국책연구기관 연구원 등 전문가, 시의원 등이 패널로 참석한 가운데 공청회를 개최했다. 시와 교통공사는 이날 행정절차 지연 등으로 도시철도 개통시기가 애초 2021년 1월에서 2024년 1월로 3년 연장된데 대해 양해를 구하고, 적기 개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참석한 패널과 주민은 도시철도 준공을 3년 연기한 결정을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이용식 양산시의원은 “전체 4공구 중 1공구와 2공구 시공업체 선정이 늦어지면서 착공 전 개통시기를 연장할 기회가 있었다. 그런데 착공 후 뒤늦게 개통시기를 조정해 화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개통 연기로 애초 개통에 맞춰 입주시기를 잡은 사송신도시 한 아파트 입주민들은 직접적 피해를 입게 됐다”고 지적했다.
서이동의 한 주민은 “교각이 마을 앞에 들어서도록 설계돼 향후 객차가 운행하면 소음 등 향후 피해가 막심하다. 그런데 공사마저 3년이나 더 한다니 이에 따른 피해는 누가 보상해주느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남부동의 한 시민은 “도시철도 부지에 편입되는 주택을 시세의 70%도 안 되는 금액에 보상을 받았다. 다른 주택은 세를 내놓아도 공사 때문에 아무도 들어오려고 하지 않는 판국에 공사가 3년이나 연장되면 공사장 인근 주민은 생계까지 위협받게 된다”고 항의했다.
양주동의 한 주민은 “도시철도 개설같은 주요사업을 손바닥 뒤집듯 마음대로 조정해도 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철도개통 시기에 맞춰 개업하기로 하고 대출까지 받아 상가를 계약했는데, 개통이 연기되는 바람에 위약금을 물고 계약을 해지 해야할 실정”이라고 얼굴을 붉혔다.
부산교통공사 관계자는 “정해진 기한 내 공기를 끝내도록 노력하겠다”며 “공청회에서 제기된 주민 의견은 최대한 반영하도록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성룡 기자 srkim@kookj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