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국내 코로나19 신규확진 320명…지역발생 307명·해외유입 13명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26일 오전 서울 성북구청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구청 직원들이 강풍에 대비해 모래주머니를 매달고 있다. 연합뉴스
26일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00명대에서 다시 300명대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전날 대비 320명 늘어난 1만 8265명이라고 밝혔다.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14일부터 103명→166명→279명→197명→246명→297명→288명→324명→332명→397명→266명→280명→320명 등을 기록하며 13일 연속 세 자릿수를 이어갔다. 이달 14일부터 이날까지 발생한 신규 확진자 수는 총 3495명이다.

신규 확진 판정을 받은 320명의 감염경로는 지역발생 사례 307명, 해외유입 사례 13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서울 110명, 경기 92명, 인천 27명 등 수도권 지역에서 229명 발생했으며, 강원 18명, 충남·전남 각 12명, 광주·대전·전북 각각 7명, 경남 5명, 부산 4명, 대구·울산·제주 각각 2명씩 확진됐다.

서울 성북구 사랑제일교회 관련 확진자는 전날 낮 12시 기준 누적 915명이다. 이달 15일 서울 광화문 집회 관련 확진자도 전날까지 총 193명으로 늘었다.

그 외에도 경기 용인시 우리제일교회(183명), 경기 파주시 스타벅스 파주야당역점(66명), 서울 관악구의 ‘무한구(九)룹’(44명), 인천 부평구 갈릴리교회(41명) 등에서 확진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충남 천안에서는 감염병 전문병원인 순천향대병원 부속 천안병원과 관련해 17명이 확진됐으며, 전남 순천 소재 한 휘트니스센터와 관련해서도 10여 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공항 또는 항만 검역 과정에서 3명 확인됐으며, 경기 6명, 서울 2명, 대구·전남 각 1명씩 나왔다. 이들 중 내국인은 7명, 외국인은 6명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는 전날 2명 발생해 누적 312명이됐다. 확진자 대비 사망자 비율을 나타내는 치명률은 1.71%다. 다만, 연령별 치명률을 보면 50~59세 5.13%, 60~69세 13.14%, 70~79세 29.81%, 80세 이상 50.00%로 고령일수록 치명률이 높다.

완치 판정을 받고 격리 해제된 사람은 82명 늘어난 1만 4368명이다. 나머지 3585명은 격리 중이며, 이들 중 위·중증 환자는 43명이다.

방역당국은 매일 오전 10시께 당일 0시를 기준으로 국내 코로나19 일별 환자 통계를 발표한다.

박기백 기자 71_back@kookje.co.kr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건설사 부도에 관급공사 잇단 중단…공기 늘며 혈세 낭비
  2. 2영화 ‘부전시장’과 ‘산복도로’…어떻게 담았을까, 부산의 애환
  3. 3초유의 ‘NC 사직구장’…원정 롯데 1루 더그아웃
  4. 4“자식들의 언어 ‘짜증나’를 ‘사랑해’로 정확히 통역한 드라마”
  5. 5또 유찰…수지 안맞는 신공항 접근로(종합)
  6. 6부산시설공단, 부산시민공원 전역 12일부터 그늘막텐트 설치 허용한다
  7. 7복지관서 ‘나이스 샷’…스크린파크골프장 부산 3곳 만든다(종합)
  8. 8160㎞ 공에도 강한 이정후
  9. 9연인 400차례 스토킹 끝에 살해…1심, 징역 25년 선고
  10. 10“출마 여건 만만찮은 상황, 이번 대선서 역할 고민중”
  1. 1“출마 여건 만만찮은 상황, 이번 대선서 역할 고민중”
  2. 2“이번주 중 도전여부 결심” ‘어대명’ 속…득표력 관건
  3. 3[속보] 김문수, 대선 출마 선언…“피고인 이재명 이긴다”
  4. 4韓대행, 이완규·함상훈 헌법재판관 지명 ‘월권’ 논란(종합)
  5. 5안철수 이어 9일 김문수, 10일 한동훈…국힘서 출사표 낼 후보만 10명 넘을 듯(종합)
  6. 6이재명 9일 대표 사퇴…초당적 캠프 구상 ‘대권 행보’(종합)
  7. 7[속보]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의결…국민의힘 반발
  8. 8민주 “이완규·함상훈 청문회 보이콧 검토…헌법소원 예정”
  9. 9우의장 “개헌, 대선 후 본격 논의하자…동시투표는 어려워져”
  10. 10민주 “내란세력 헌재 장악 시도” 국힘 “재판관 공백 막기 위한 결단”(종합)
  1. 1또 유찰…수지 안맞는 신공항 접근로(종합)
  2. 2시속 1200㎞로 서울~부산 20분에 달리는 ‘하이퍼튜브’ 기술 개발 본격화
  3. 3미중 무역전쟁에…국제유가 60달러 붕괴·4년 만에 최저
  4. 4거센 역풍에 손 든 한화에어로, 유증 2조3000억으로 축소(종합)
  5. 5부산 수출기업 10곳 중 4곳 “트럼프發 관세전쟁 대책 마련 못해”
  6. 6'관세전쟁' 충격에 환율 1500원 초읽기
  7. 7'미 관세 충격' 車산업 살린다…유동성 3조 지원·보조금 연장
  8. 8항만물류 AX 가속도…해진공, AI효과 검증 나선다
  9. 93월 전체 취업자 19만명 증가…20대·건설·제조업은 '침체'(종합)
  10. 105월 말 끝나는 전월세 신고제 과태료 유예기간 더 이상 연장 안 될 듯
  1. 1건설사 부도에 관급공사 잇단 중단…공기 늘며 혈세 낭비
  2. 2부산시설공단, 부산시민공원 전역 12일부터 그늘막텐트 설치 허용한다
  3. 3복지관서 ‘나이스 샷’…스크린파크골프장 부산 3곳 만든다(종합)
  4. 4연인 400차례 스토킹 끝에 살해…1심, 징역 25년 선고
  5. 5지방의회 국외출장 점검했더니…부산 15곳 규정위반 정황
  6. 6명지주민 숙원 ‘국민체육센터’ 올 8월 첫 삽
  7. 7해설사 함께 걷는 갈맷길이라 더 아름다워라
  8. 8‘장미대선’에 6월 모평 하루 늦춘다
  9. 9‘학폭’ 모든 대입 전형에 반영…재수생은 불이익 적어 논란
  10. 10마은혁 헌법재판관 첫 출근…“임무완수 위해 최선 다할 것”
  1. 1초유의 ‘NC 사직구장’…원정 롯데 1루 더그아웃
  2. 2160㎞ 공에도 강한 이정후
  3. 3어뢰배트 등장에도 MLB ‘투수의 시대’
  4. 4U-17 축구대표팀, 아프간에 6-0 대승…8강 파란불
  5. 5셰플러 2연패냐, 매킬로이 커리어 그랜드슬램이냐
  6. 6파크골프 인기…용호동에 대형 실내시설
  7. 7속 터지는 롯데 야구…더 속 터지는 음식주문
  8. 8실속 없는 롯데 방망이, 마이 치봐야 뭐하겠노
  9. 9이정후 클래스…MLB 2루타 1위
  10. 10손흥민 토트넘서 450경기…구단 “위대한 7명에 합류”
고영삼의 인생 이모작…한 번 더 현역
세계걷기여행자 김경섭 씨
부산 대중교통이 갈 길 독일 정책서 배운다
獨 “행정낭비 말자” 전국 교통정기권 통합…韓은 ‘따로국밥’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