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에 이어 부산시가 기장해수담수시설 재가동을 추진해 부산지역 시민단체가 반발한다. 이 시설은 고리원전으로부터 11㎞ 거리에 있어 담수화한 물이 방사성 물질로부터 안전하지 못하다는 지적을 받아 2018년 가동을 멈췄다.
 |
기장해수담수반대대책협의회가 22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기장해수담수시설 재추진에 식수공급 포함시킨 부산시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원준 기자 |
기장해수담수반대대책협의회 등 3개 시민단체는 22일 오전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시의 기장해수담수시설 재추진 계획(국제신문 지난 1월 13일 자 1면 등 보도)을 비판했다. 이들은 “시가 이 시설의 가동을 재개하는 방안 중 하나로 식수를 포함시켰다. 시민의 생명과 안전은 뒷전이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시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에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서 해수담수시설 활용방안에 식수공급을 포함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이미 2016년 3월 주민투표를 통해 식수 공급에 반대한다는 지역민의 입장이 확인된 만큼 재개 방안에 식수가 포함돼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당시 기장해수담수반대대책협의회가 기장·일광·장안읍 주민 5만9931명을 대상으로 이 시설의 식수 공급 찬반 여부를 설문한 결과 조사에 응한 1만6014명 중 89.3%가 반대했다.
협의회 김용호 대표는 “핵오염수 문제로 시민이 불안해하는데 이 시설을 다시 가동하려는 건 마치 우리를 실험체로 삼아 ‘방사성 물질이 담긴 물을 마셔도 괜찮다’고 홍보하려는 것처럼 느껴진다. 식수로 공급하는 방안은 결코 활용 방안에 포함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