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조기 대선으로 초중고, 방학 연기 등 학사일정 조정 불가피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 선고로 5월 말에서 6월 초 사이 조기 대선이 확정됨에 따라 각급학교 학사일정도 조정될 전망이다.

선거일은 국가공휴일로 지정돼 학교도 쉬는 만큼 학생들의 총 수업 시간수를 맞추고자 학사 일정 조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선고한 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 봉황기가 내려져 있다. 연합뉴스
5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대선 투표일 휴업하면 원래 계획했던 수업 일수에서 하루가 부족해지기 때문에 각 학교는 재량 휴업일을 조정하거나 방학을 하루 늦추는 식으로 학사 일정을 조정할 예정이다.

경기지역 초·중·고등학교는 새 학기 시작 전인 올해 2월에 학교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2025학년도 1학기 학사일정을 정할 당시 대부분의 학교는 급식 노동자 등이 쉴 수 있도록 근로자의 날인 5월 1일이나, 주말을 포함해 4일간 휴식이 가능하도록 현충일 전날인 6월 5일을 재량휴업일로 지정했다.

그러나 파면 선고로 향후 60일 이내에 조기 대선이 치러지게 됨에 따라 대선 투표일과 재량휴업일까지 휴업할 경우 수업일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때문에 애초 지정한 재량휴업일은 정상 등교하도록 학사일정을 바꾸기로 했다.

구체적인 조정 방식은 각 학교에서 결정한다. 학교장 재량에 따라 구성원 의견을 수렴해 학사 일정을 변경할 것으로 보인다.

윤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치러지게 될 조기 대선일로는 5월 26·27일 또는 6월 2·3일이 거론된다. 이 중 6월 3일을 정치권에서는 가장 유력한 조기 대선일로 보고 있다.

상당수의 학교는 이번 조기 대선에서도 투표소로 쓰일 예정이다. 선거 전날까지 수업은 정상 운영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대선 전날 학생들이 하교한 뒤 선거관리위원회 직원 등이 와서 투표소를 설치하게 된다”며 “투표 당일을 제외하면 수업에는 지장이 없다”고 말했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부산 남천동 삼익비치 99층 재건축 무산
  2. 29억으로 껑충 뛴 분담금에 조합 반대 “용적률 수혜도 적어”
  3. 3‘부산~자카르타’ 노선 힘들게 따냈는데…항공사 1년째 취항 외면
  4. 4부산 ‘이중섭 거리’ 핵심 빠지고, 옛 보림극장 사업 손도 못 대
  5. 5늘봄정책 재검토, 인사 물갈이…김석준 ‘새 판 짜기’ 예고
  6. 6‘악마의 유혹’ 정치테마주 주의보
  7. 7[속보] 하동 옥종에서 또 산불
  8. 8의대 증원 여파 고신대 등 합격선 하락
  9. 94시간 52분 ‘사직 혈투’…롯데 쓰디쓴 패배
  10. 10尹 탄핵 비상시국에 부산 경찰 음주운전
  1. 1운명의 60일…승부처는 중도층
  2. 2국힘 지도부 재신임…‘장미대선’ 준비 본격화(종합)
  3. 3尹, 금주 서초 사저 복귀할 듯…경호 탓 제3장소 관측도(종합)
  4. 4민주 대선 경선 ‘어대명’? 범진보, 오픈프라이머리 재차 제안
  5. 5우원식 개헌 동시 투표 주장에 민주 친명 “내란종식 우선” 반발(종합)
  6. 6조기대선 6월 3일 화요일…정부, 8일 국무회의서 확정
  7. 7조기대선 6월 3일 화요일…정부, 8일 국무회의서 확정
  8. 8국민 눈높이로 공들인 헌재 결정문…법리 넘어 통합 강조(종합)
  9. 9윤상현 “尹, 신당 창당 제안 많지만 배격…파면은 의연하게 받아들여”
  10. 10헌재, 계엄 위헌·위법 인정…尹 형사재판에도 여파(종합)
  1. 1부산 남천동 삼익비치 99층 재건축 무산
  2. 29억으로 껑충 뛴 분담금에 조합 반대 “용적률 수혜도 적어”
  3. 3‘부산~자카르타’ 노선 힘들게 따냈는데…항공사 1년째 취항 외면
  4. 4‘악마의 유혹’ 정치테마주 주의보
  5. 5키움마저…잇단 전산사고 비상
  6. 6신발업계, 해외생산 재편…철강은 단가인하 압박 받아
  7. 7윈도우10 시대 저문다…글로벌 브랜드 고성능 AI PC 선점 경쟁
  8. 8제조업 특화 ‘경남형 챗GPT’ 만든다
  9. 9고사위기 유통업계 “낡은 규제 풀어달라”
  10. 10“필터 원단 듀라필텍스, 3M보다 고성능…TSMC 납품 목표”
  1. 1부산 ‘이중섭 거리’ 핵심 빠지고, 옛 보림극장 사업 손도 못 대
  2. 2늘봄정책 재검토, 인사 물갈이…김석준 ‘새 판 짜기’ 예고
  3. 3[속보] 하동 옥종에서 또 산불
  4. 4의대 증원 여파 고신대 등 합격선 하락
  5. 5尹 탄핵 비상시국에 부산 경찰 음주운전
  6. 6헌재 다시 6인체제 되나… 18일 문형배·이미선 퇴임에 '기능마비' 우려
  7. 7기장군 안일행정에…해일대피시설 1년 넘게 준공 못해
  8. 8부산 동구, 부산 자치구 최초 지속가능발전 기본전략 및 추진계획’수립
  9. 9울주서 또 산불…대구선 진화헬기 추락, 조종사 숨져(종합)
  10. 10獨 “행정낭비 말자” 전국 교통정기권 통합…韓은 ‘따로국밥’
  1. 14시간 52분 ‘사직 혈투’…롯데 쓰디쓴 패배
  2. 2이정후 시즌 첫 3안타, 도루…오라클 파크 열광
  3. 3극적 8m 이글…이예원, 국내 개막전 정상
  4. 4부상 이강인, PSG서 5번째 트로피
  5. 5존재감 없는 롯데 캡틴…"준우형 도대체 왜 그래?"
  6. 6프로농구 KCC, 시즌 막판 또 연패
  7. 7동점골 취소 불운 아이파크, 올해도 홈 약세?
  8. 8사직구장 재건축, 중앙투자심사 반려 ‘제동’
  9. 9NC, 롯데와 한솥밥 먹나?…사직구장 임시 사용 검토
  10. 10U-17 축구대표팀, 23년 만에 아시안컵 우승 도전
부산 대중교통이 갈 길 독일 정책서 배운다
獨 “행정낭비 말자” 전국 교통정기권 통합…韓은 ‘따로국밥’
난치병 환우에 새 생명을
간낭종·대장암 의심 수술비 지원 절실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