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명지주민 숙원 ‘국민체육센터’ 올 8월 첫 삽

강서구에 두 번째…277억 투입

  • 백창훈 기자 huni@kookje.co.kr
  •  |   입력 : 2025-04-08 19:10:08
  •  |   본지 6면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부산 강서구 대저동에 이어 신도시가 조성된 명지동에도 국민체육센터가 들어선다.
부산 강서구 명지1동에 조성될 국민체육센터 조감도. 국민의힘 김도읍 의원실 제공
강서구는 최근 ‘생활밀착형 국민체육센터’ 건립을 위한 행정절차를 모두 마쳤다고 8일 밝혔다. 국민체육센터는 명지1동 630-2 일원에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4486㎡ 규모로 건립된다. 277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오는 8월 착공, 내년 말 준공을 목표로 한다. 이곳에는 수영장과 체육관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로써 강서구는 연제구에 이어 부산에서는 두 번째로 관내에 국민체육센터 2곳을 보유하게 됐다. 연제구에는 연산동과 거제동에 국민체육센터가 있다.

강서구는 앞서 2013년 대저2동에 연면적 3602㎡ 지상 4층 규모로 국민체육센터를 건립, 현재까지 수영과 헬스 요가 체조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곳은 신도시 조성으로 인구가 크게 늘어난 명지동과 멀어 2020년부터 국민체육센터 추가 조성이 추진됐다.

구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 어려움도 있었다. 행정절차를 밟는 과정에서 공사비가 두 차례나 증액돼 사업 지연의 우려를 낳았다. 2022년 물가상승으로 인해 애초 계획한 사업비가 150억 원에서 194억 원으로 한 차례 증가했고, 지난해에는 수영장 규모를 5레인에서 8레인으로 늘리면서 277억 원까지 치솟았다.

통상 사업비가 200억 원을 초과하면 행정안전부의 지방재정투자심사가 필요하다. 이에 구는 올해 초부터 행안부에 협조를 요청했고, 지난 2일 심사를 최종 통과하며 행정절차를 모두 마쳤다.

구 관계자는 “명지동 일대에 신도시가 조성되면서 체육센터를 지어달라는 구민의 요구가 많았다”며 “체육 인프라 조성과 구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꼭 필요한 센터를 공기 내에 차질 없이 건립하겠다”고 말했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단독] 금양 수상한 돈흐름…세관 전격 압수수색
  2. 2부산도 신규지정 글로컬大 시너지
  3. 3건설업 위기 극복 팔걷은 부산시
  4. 4부산의 미청산 조합 46곳, 입주 후에도 유보금 ‘펑펑’… 조합원 몫 잠식
  5. 5신공항 조기개항 공약화로 ‘쐐기’
  6. 6친구에게 돌 던진 9세…법원 “2200만 원 배상하라”
  7. 7MLB 슈퍼스타 이정후 타율 0.355…NL 3위
  8. 8금값 더 오른다? 거래대금 작년보다 4.4배 급증
  9. 9“최다 방문객 대만인 더 모셔라” 부산관광公, 축제 앞세워 모객
  10. 10이강인 한 달만에 복귀…손흥민은 3경기 연속 결장
  1. 1이재명 “해수부 부산 이전” 공약…PK민심 공략 승부수(종합)
  2. 2중도층 잡아라…박형준과 스킨십 나선 국힘 주자들
  3. 3치열한 국힘 vs ‘어대명’ 민주…상반된 경선 분위기
  4. 4국힘 토론회 정책 실종…尹탄핵 설전만(종합)
  5. 5한덕수 출마 여부 “아직 결정 안내려”(종합)
  6. 6“독일처럼 과감한 감세, 기업 지방이전 이끌것”
  7. 7민주 영남 경선 李 90.8% 압승…충청권 이어 ‘어대명’ 재확인(종합)
  8. 8[속보] 이재명 50% 첫 돌파…김문수 12.2%, 한동훈 8.5% 등
  9. 9[속보] 권영세 "국민의힘, 당의 문 다시 활짝 열 것"… '반명(反明) 빅텐트' 시동
  10. 10국민의힘, 오늘부터 이틀간 대선후보 선출 1차 경선 돌입
  1. 1건설업 위기 극복 팔걷은 부산시
  2. 2부산의 미청산 조합 46곳, 입주 후에도 유보금 ‘펑펑’… 조합원 몫 잠식
  3. 3금값 더 오른다? 거래대금 작년보다 4.4배 급증
  4. 4“최다 방문객 대만인 더 모셔라” 부산관광公, 축제 앞세워 모객
  5. 5대형건물 ‘공개공지’ 사유화 많아…부산시, 정보제공 플랫폼 추진
  6. 6홈플사태 檢 맡는다…경영진 부정 정조준
  7. 7주식시장 요동에…초단기채 펀드 40조 돌파
  8. 8대기업 밸류업 역행에 잇단 제동
  9. 9이미지 보고 생각하는 AI 등장…美 개발 경쟁 격화
  10. 10KT 콘텐츠 사업, 전 과정 AI 적용…OTT서 동시 공개
  1. 1[단독] 금양 수상한 돈흐름…세관 전격 압수수색
  2. 2부산도 신규지정 글로컬大 시너지
  3. 3신공항 조기개항 공약화로 ‘쐐기’
  4. 4친구에게 돌 던진 9세…법원 “2200만 원 배상하라”
  5. 5‘디자인 도시 부산’ 만든다…2028 세계 디자인 수도 도전장
  6. 6이과 중위권 문과 전향…사탐 응시율 64% 넘어
  7. 7꼬마 아이언맨 재활원 밖으로 첫발…시민 뜨거운 응원
  8. 8[속보] 경찰 “봉천동 아파트 방화 용의자, 화재 현장서 숨진 채 발견”
  9. 9서울 봉천동 아파트에 화염방사 방화 추정…1명 사망·11명 부상(종합)
  10. 10오늘의 날씨- 2025년 4월 21일
  1. 1MLB 슈퍼스타 이정후 타율 0.355…NL 3위
  2. 2이강인 한 달만에 복귀…손흥민은 3경기 연속 결장
  3. 3해결사 나승엽…롯데 단독 4위 견인
  4. 4‘원정불패’ 아이파크…외국인 선수 트리오 골 폭죽
  5. 5佛 기대주 아트망, 부산오픈 단식 우승
  6. 610초 남기고…부산시설공단 역전쇼
  7. 7물오른 이정후, 또 2루타
  8. 8롯데 FA 트리오 170억 ‘헛돈’…유강남만 체면치레
  9. 9프로야구 주말 더블헤더 시행
  10. 10아스널-PSG, 인터 밀란-바르셀로나…챔스 4강 대진 확정
도시디자인이 부산 바꾼다
도시 전체가 디자인 전시장으로…세상의 혁신이 모이다
부산 대중교통이 갈 길 독일 정책서 배운다
수도 베를린 교통망 수혜 집중…독일티켓이 들춘 지역소외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