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지도원들의 장애인 상습 학대로 물의를 빚은 울산 최대 중증장애인 보호시설이 사건 재발 방지를 위한 인권 보호 체계 재정비를 약속했다.
 |
울산 북구 한 장애인 재활시설에서 발생한 생활지도원들의 원생 학대사건과 관련해 울산 27개 장애인 단체 기관 회원들이 지난 2월11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해당 사건과 관련된 시설 폐쇄를 요구하고 있다. 울산시 제공
|
13일 북구에 따르면 재활원 측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시설 운영의 전반적인 시스템을 재정비하고 장애인의 인권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운영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안전 및 인권 관리·감독 강화, 폐쇄회로(CC)TV 상시 모니터링 체계 정비 및 보호자 참여 확대, 3∼4개 팀으로 시설 운영 체계 분산 개편, 자립 지원 통한 시설 축소 운영, 직원 및 거주인 인권 교육 강화 등을 제시했다.
A 재활원 원장은 “시설 운영과 관리에 철저한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지 못한 점을 깊이 반성하고 있다”며 “피해자들과 가족분들께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드린 점을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사과했다. 이어 “사태의 책임을 통감한다. 시설 정상화를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한 후 원장직을 내려놓겠다”고 말했다.
이 재활원에서 근무한 생활지도원 20명은 지난해 10∼11월 시설 거주 중증 지적장애인 29명을 상습적으로 학대한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았다. 이중 학대 사실이 확인된 생활지도원 4명이 장애인복지법 위반 혐의로 구속됐다. 또 비교적 혐의가 가벼운 생활지도원 16명은 불구속 입건됐다. 시설 운영법인 이사장도 관리 소홀 책임을 묻는 양벌규정이 적용돼 불구속 입건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