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임형석의 한자 박물지(博物誌) <909> 修辭

  • 디지털콘텐츠팀 inews@kookje.co.kr
  •  |   입력 : 2011-12-12 21:03:42
  •  |   본지 23면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 닦을 수(人-8)말 사(辛-12)

   
피터 이작스 또는 라인홀트 팀 1620년대 작 '기사들의 수사학 수업'(덴마크 코펜하겐 로센보르그 성 소장).
修辭(수사)는 '말이나 글을 다듬고 꾸며 정리하는 일'을 가리키는 말. 글짓기나 갈고닦은 말이나 글 자체를 가리키기도 한다. 修辭는 본디 周易(주역)에서 공자가 한 말. '성인의 제도를 남긴 것이라 추정되는 말을 공부해서 자기 마음속에 세우는 일은 군자가 성인의 사업에 머무는 직업윤리의 근거이다 修辭立其誠(수사입기성) 所以居業也(소이거업야)'. 세상을 학교로 만들려고 획책한 공자스러운 말이다.

修 자는 본디 옛것을 정리한다는 뜻. 治(다스릴 치) 자와 똑같다. 建(세울 건) 자를 修 자와 같다고 풀지만 建 자에는 새것을 세운다는 뜻이 있기 때문에 다르다. 修飾(수식)이라는 말에서도 보듯, 修 자에는 꾸민다는 뜻도 있다. 이미 있는 것을 다듬어 보기 좋게 꾸민다는 말이겠다. 공자 제자 증삼의 大學(대학)에 나오는 유명한 修身(수신), 곧 자기를 닦는다는 말은 앞사람에게 물려받은 것을 잘 기른다는 뜻이다.

辭 자는 본디 법률용어. 訴訟(소송)을 벌일 때 하는 陳述(진술)이나 辯護(변호)를 가리킨다. 진술이나 변호는 묻는 말에 대답하는 것인 까닭에 應對(응대), 곧 묻는 말에 대답하는 말을 가리키는 말로 뜻이 넓어진다. 辭는 
(말씀 사)라고 쓰기도 하는데 모두 辛(매울 신)이 부수. 辛은 짧은 칼 匕首(비수)를 가리킨다. 법정에서 하는 말 하나하나가 칼날 같은 탓인가.

우리나라 사람들은 말마다 '진짜'라는 말을 곧잘 쓴다. 그리고 修辭라는 말을 거짓 꾸밈이라는 뜻으로 곧잘 깔보곤 한다. 修辭를 거짓 꾸밈이라고 쓰는 것은 서양에서 유래한 용법. 고대 그리스 이래 修辭를 '토론의 기술'로 여기고 眞理(진리)의 반대쪽에 서있다고 깔보는 전통이 엄연하다. 경성대 중어중문학과 초빙외래교수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국민의힘, 주말 이후 대선 모드…김문수·홍준표 등 출마 선언 이어질 듯
  2. 2부산, 울산, 경남 대체로 맑고 포근… 낮 최고기온 부산 17도
  3. 3홍준표 “25번째 이사 …마지막 꿈 향해 상경”
  4. 4尹정부 내내 추락한 경기지수, '임기 중 최저치'로 마침표(종합)
  5. 5토허제 시행에도 강남3구·용산·성동 아파트값 고공행진
  6. 6尹정부 경기지수 ‘최저치’로 마침표…계엄 후 더 추락
  7. 7경북산불 폐기물 비용만 "1500억 이상일 듯"
  8. 8영끌 대신 살 아파트 지분투자… ‘한국형리츠’ 제도화 시동
  9. 9뉴욕타임스 “지난 4개월간 한국 민주주의 원상 회복력 입증했다”
  10. 10尹 정부 대통령기록물 이관작업 내주 본격화
  1. 1국민의힘, 주말 이후 대선 모드…김문수·홍준표 등 출마 선언 이어질 듯
  2. 2홍준표 “25번째 이사 …마지막 꿈 향해 상경”
  3. 3尹 정부 대통령기록물 이관작업 내주 본격화
  4. 4민주 “尹, 대선승리 운운 관저정치…국힘, 尹과 결별해야”
  5. 5[속보] 김두관, 7일 대선 출사표…민주당 첫 주자
  6. 6개인 경호 외 대통령 예우 박탈, 한남동 관저서도 즉시 퇴거해야(종합)
  7. 7이재명 대세론 속 ‘장미 대선’ 레이스 점화(종합)
  8. 8대통령 윤석열 파면(종합)
  9. 9자충수로 단명한 尹 ‘1000일 정부’
  10. 1012·3 비상계엄, 요건 모두 위반…尹 제기 ‘절차 문제’ 모두 불인정
  1. 1尹정부 내내 추락한 경기지수, '임기 중 최저치'로 마침표(종합)
  2. 2토허제 시행에도 강남3구·용산·성동 아파트값 고공행진
  3. 3尹정부 경기지수 ‘최저치’로 마침표…계엄 후 더 추락
  4. 4영끌 대신 살 아파트 지분투자… ‘한국형리츠’ 제도화 시동
  5. 5정부, 지자체가 청년·고령자 등 계층 특성 맞는 주택 건설 때 80% 지원
  6. 6'두 달 공백기' 들어가는 韓경제…"'필수 추경' 등 재정투입 시급"
  7. 7미 USTR "기존 무역협정 '현대화' 필요"…한미FTA 재개정 기로
  8. 8‘킬체인 핵심’ 초소형위성체계 개발 ‘이상무’
  9. 9키움증권, 이틀 연속 초유의 주문처리 시스템 ‘먹통’
  10. 10경제계 “이제 조속한 국정 정상화로 경제살리기 총력을”
  1. 1부산, 울산, 경남 대체로 맑고 포근… 낮 최고기온 부산 17도
  2. 2경북산불 폐기물 비용만 "1500억 이상일 듯"
  3. 3뉴욕타임스 “지난 4개월간 한국 민주주의 원상 회복력 입증했다”
  4. 4우주항공수도 사천, 위성개발혁신센터 구축 본격화
  5. 5길어지는 이재민 대피시설 생활, 임시주택 16곳만 설치 중
  6. 6울산 십리대밭교 인근서 시외버스 등 4대 충돌
  7. 7조기 대선으로 초중고, 방학 연기 등 학사일정 조정 불가피
  8. 8‘코인 투자하면 50% 이자 지급’ 사기로 29억 가로챈 30대 실형
  9. 9부산시 산하 17개 공공기관 320명 신규채용
  10. 10“너무 당연한 결과” “어떻게 이럴 수 있나” 시민 희비교차
  1. 1사직구장 재건축, 중앙투자심사 반려 ‘제동’
  2. 2NC, 롯데와 한솥밥 먹나?…사직구장 임시 사용 검토
  3. 3U-17 축구대표팀, 23년 만에 아시안컵 우승 도전
  4. 4박정은 감독 “BNK, 부산의 자랑이 되길” MVP 안혜지 “우승 맛 보니 한 번 더 욕심”
  5. 5롯데, 적과의 동침…NC, 사직구장에 둥지 튼다
  6. 6유격수 구인난 롯데, 경쟁체제 희망
  7. 7롯데 반즈, 사직 징크스?…폭삭 무너졌수다
  8. 8KCC 홈경기 8연패 탈출…4일 삼성과 마지막 홈전
  9. 9[뭐라노] 사직구장 재건축 '제동'
  10. 10레이예스마저 깼다…"롯데, 돌아왔구나!"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