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부산메디클럽

이런데 애 낳으라고?…출산율 최저인데 육아휴직도 맘대로 못 써

출산율 최저인데…직장인 45% “육아휴직 자유롭게 못써”

가족돌봄휴가는 절반 넘게 “못쓴다”…직장갑질119 설문

  • 글자 크기 
  • 글씨 크게
  • 글씨 작게
올해 1월 출생아가 2만3,000여 명으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은 수를 기록하는 등 저출생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에도 직장인 두 명 중 한 명은 여전히 육아휴직, 출산휴가 등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육아를 위해 잠시 자리를 비웠다가 직장으로 돌아오면 ‘민폐’ 취급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저출생 문제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지만 직장인 절반 가량은 여전히 출산·육아·돌봄휴가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와 사무금융우분투재단은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 퍼블릭에 의뢰해 남녀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45.2%가 이같이 답했다고 26일 밝혔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이 0.7명대로 떨어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꼴찌이자 평균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정부는 16년간 약 280조원의 저출생 대응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출생아 수는 20년 전의 반 토막인 25만명 수준으로 곤두박질했다. 사진은 2019년 서울의 한 대형병원 신생아실. 연합뉴스
성별로는 남성(41.6%)보다 여성(49.9%)이 육아휴직에 제약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이 답한 비율은 비정규직(58.5%),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67.1%), 월급 150만원 미만 노동자(57.8%) 등 ‘노동 약자’가 평균보다 높았다.

출산휴가를 마음대로 쓰지 못한다고 답한 직장인은 39.6%였다.

비정규직(56.8%),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62.1%), 월급 150만원 미만 노동자(55.0%)는 절반 이상이 출산휴가를 자유롭게 쓰지 못하는 형편이라고 답했다.

가족돌봄휴가 역시 응답자의 53%가 자유롭게 쓰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족돌봄휴가는 자녀와 조부모·부모·배우자 등을 돌보기 위해 쓰는 휴가다. 남녀고용평등법에 따라 1년에 열흘까지 쓸 수 있다.

직장갑질119는 육아휴직·출산휴가 등을 썼다가 육아휴직 후 급여 삭감, 안식휴가 대상자에서 제외, 일방적인 휴가 일수 조정, 임신기간 근로시간 단축 요청 거절 등 부당한 대우를 당한 사례도 있다고 전했다.

이에 직장갑질119 는 “정부는 직장인들이 마음 놓고 아이를 낳을 수 있도록 노동시간을 줄이고, 출산·육아·돌봄 휴가를 확대하는 한편 이를 위반하는 사업주를 강력히 처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직장갑질119는 일가정 양립이 어려운 상황에서 연장근로시간 관리단위를 확대하는 근로시간 개편안은 저출생 현상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제신문(www.kookj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제신문 뉴스레터
국제신문 네이버 뉴스스탠드 구독하기
국제신문 네이버 구독하기
뭐라노 뉴스

 많이 본 뉴스RSS

  1. 1[기고] 부산에서 꿈을 이룬 대만 유학생, J양의 이야기
  2. 2오륙도선 예타 탈락…양당 시당 네탓 공방
  3. 3부산해양경찰서장 서정원 총경 취임
  4. 4428살 기장 곰솔, 올해의 나무 선정
  5. 5이정후 또 3안타 폭발…ESPN “NL 타격왕 예상”
  6. 6박형준 대선 불출마…3선 연임 집중할 듯(종합)
  7. 7양자컴, 해양인재…‘부산형 라이즈’ 122개 사업 닻 올린다
  8. 8“원자력·재생에너지 조화가 탄소중립의 핵심”
  9. 9韓 WBC ‘죽음의 조’…일본·대만 등과 C조
  10. 10수로왕 만나러 가세…가야문화축제 개막
  1. 1오륙도선 예타 탈락…양당 시당 네탓 공방
  2. 2박형준 대선 불출마…3선 연임 집중할 듯(종합)
  3. 3사그라들지 않는 ‘한덕수 출마설’(종합)
  4. 4김문수 지지와 한덕수 추대론…박수영의 두 토끼 몰이
  5. 5부산 민주당 대선모드…전재수 “출마여부 14일까지 고심”
  6. 6국힘 대선후보 1차 경선 4인→ 2차 2인 압축(종합)
  7. 7李 “먹사니즘으로 경제성장”(종합)
  8. 8韓 “4년 중임 대통령제 개헌”(종합)
  9. 9尹 11일 오후 5시 관저 떠난다(종합)
  10. 10헌재, 박성재 탄핵소추 기각 “안가회동, 내란 관여 아냐”(종합)
  1. 1“원자력·재생에너지 조화가 탄소중립의 핵심”
  2. 2“부산시민 공기업 해진공, 해양금융 확대”
  3. 3“부산 분산특구 지정 땐 에너지 신산업 거점 가능”
  4. 4봄맞이 인테리어 소품 쏟아진다
  5. 5“무탄소 풍력 발전, 지역 에너지 자립도 향상 기여”
  6. 6증시 뒤흔든 ‘트럼프의 입’…코스피, 매수 사이드카(종합)
  7. 7“소형원자로 활용도 높이고 재생에너지도 확대를”
  8. 8중국 84% 맞불 관세…WTO “세계 GDP 7% 줄어들 것”
  9. 9KRX 퓨처스타 35인에 도전하세요
  10. 10“묻고 또 묻는 경영…반도체 테스트 부품 강자됐죠”
  1. 1부산해양경찰서장 서정원 총경 취임
  2. 2428살 기장 곰솔, 올해의 나무 선정
  3. 3양자컴, 해양인재…‘부산형 라이즈’ 122개 사업 닻 올린다
  4. 4수로왕 만나러 가세…가야문화축제 개막
  5. 5교육청 국·과장급 21명 교체…김석준 벌써 두 번째 인사
  6. 6“고령운전자 돌발상황 0.47초 반응 느려” 부산만 34만 명(종합)
  7. 7“해수 에너지산업에 관심을”…“탄소중립 시민캠페인 열자”
  8. 8부산시, 보호 종료된 자립 청년 보증금 등 지원
  9. 9경남권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창원서 첫 삽
  10. 10①폐장난감 순환 ②스마트팜 ③걷기로 환경 지키는 이들
  1. 1이정후 또 3안타 폭발…ESPN “NL 타격왕 예상”
  2. 2韓 WBC ‘죽음의 조’…일본·대만 등과 C조
  3. 3정현·권순우 경기 스포원서 직관
  4. 4아이파크, 13일 홈서 이랜드와 경기
  5. 52028 LA올림픽 골프 혼성 단체전 추가
  6. 6화려한 피날레 김연경 “V리그 별 추가해 다행”
  7. 7아깝다 이정후, 9경기 연속안타 불발
  8. 8롯데 안방은 빌려줘도, 승리는 절대 못 내줘
  9. 9디펜딩 챔프가 어쩌다…KCC 초라한 성적표
  10. 10아이파크 U15 WFC, 춘계연맹전 첫 승 도전
고영삼의 인생 이모작…한 번 더 현역
세계걷기여행자 김경섭 씨
부산 대중교통이 갈 길 독일 정책서 배운다
獨 “행정낭비 말자” 전국 교통정기권 통합…韓은 ‘따로국밥’

Error loading images. One or more images were not found.

걷고 싶은 부산 그린워킹 홈페이지
국제신문 대관안내
스토리 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