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19곳서 756곳 폐원 전망
- 전국 평균 31.8% 부산 39.4%
- 17개 시도 중 감소율 가장 높아
- 市 “민간 폐원, 국공립 전환 확대”
극심한 저출생의 여파로 어린이들의 보육과 교육을 담당하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이 급감한다. 특히 부산은 전국 17개 광역단체 중 감소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유출로 어린이집(유치원)이 문을 닫으면서 교육환경이 나빠지면 인구 유출이 가속화하는 악순환을 끊어낼 수 있는 획기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국제신문이 육아정책연구소의 ‘저출생시대 어린이집·유치원 인프라 공급 진단’이라는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2년 1919개였던 부산지역 어린이집·유치원은 2028년 756개나 줄어들 것으로 조사됐다. 39.4%의 감소율로, 같은 기간 전국 평균 31.8%를 웃돌면서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가장 높은 수치다. 부산에 이어 서울과 대구가 각각 37.3%, 울산과 인천은 각각 34.4%와 34.0%였다. 이는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저위 추계)를 활용해 취원율과 정원 충족률이 동일하게 유지된다는 가정 아래 도출된 수치다.
보고서도 영유아 인구가 부족한 지역에서 교육과 보육 관련 시설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정원이 다 차지 않았지만 운영되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도 있는 만큼 향후 폐원 문제는 더 심각해질 것”이라며 “인구 유출이 심각한 지역에서 최소한의 인프라가 유지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초등학교와 마을회관 등 남는 공간을 개조해 보육교사를 파견하는 방식 등으로 취약지역 지원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부산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은 2018년 2304개였는데, 2022년부터 2000개 아래로 떨어졌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유지 여부에 따라 영유아 교육과 보육의 취약지가 극명하게 드러난다. A(40대·부산 연제구) 씨는 지난해 하반기 만 4세 아이가 다니던 집 근처의 어린이집이 문을 닫자 부랴부랴 다른 어린이집을 찾아야만 했다. 하지만 1.5㎞나 더 떨어진 곳으로, 등·하원 길은 더 멀어졌다. A 씨는 “아침 출근 시간대 등원 시간이 10~20분 정도 늘다 보니 아무래도 집 근처보다 불편하다. 조부모가 아이를 하원 시킬 때도 있는데, 고령이다 보니 20분 걸어야 해 부담이 크다”고 말했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운영자들도 수요 급감의 여파를 극복하지 못한 채 폐원하는 사례가 속출한다. 현장에서는 업종 전환을 고민할 여지도 없이 문을 닫는 게 상책이라는 푸념이 나올 정도다. 박기남 부산시어린이집연합회장은 “매년 수십 곳의 어린이집이 문을 닫는 실정인데, 재투자를 부담스러워해 업종 전환도 쉽지 않다. 저출산 탓에 어린이집이 문을 닫는 것뿐만 아니라 향후에는 교사 부족 문제에도 시달릴 것”이라면서 “영유아 교육 인프라가 갈수록 취약해지는 상황이라 정부나 시가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폐원하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을 공공형으로 전환하는데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우미옥 시 여성가족국장은 “주로 민간 어린이집이 폐원하는 사례가 많아, 이런 곳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공공 형태로 전환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라면서 “취약지가 발생하지 않게 사업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