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자 12기→48기 계획 변경
- 지역 보상 등 접점 찾을지 촉각
부산 사하구 다대포 앞바다에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 다시 급물살을 탄다. 구와 사업 시행자는 기존의 12기에 36기를 추가해 총 48대의 대규모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특히 구는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신평장림산업단지의 지식산업센터 전환 사업과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사업을 연계해 다대포 일원을 신재생 에너지 메카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보여 주목된다.
 |
부산 사하구 몰운대와 다대포해수욕장 전경. 국제신문DB |
부산 사하구는 다대포 앞바다에 총 48기 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사업 시행자인 부산해상풍력발전은 올해 초 산업통상자원부에 사업 허가를 받은 12기에 36기를 더해 총 48기의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겠다는 의사를 구에 전달했다. 해상풍력발전단지는 지난해 10월 착공해 내년 준공 예정이었으나, 주민 반발로 중단(국제신문 2021년 5월 28일 자 3면 보도)됐다.
그러다가 최근 구가 이 사업에 다시 관심을 보이면서 기류가 달라졌다. 풍력발전기가 12기에서 48기로 확대돼 추진하는 것도 이갑준 구청장의 제안에서 시작됐다. 사업허가를 받은 12기는 현재 해양수산부의 해역이용평가를 앞뒀다. 해역이용평가란 해양 개발 행위의 적정성과 해양환경영향을 평가하는 제도다. 해수부 승인을 받으면 사하구의 공유수면 점사용 허가 등 인·허가 절차를 거쳐 첫 삽을 뜬다.
구는 신평장림산업단지를 지식산업센터로 전환하는 사업과 연계해 해상풍력발전으로 신재생 에너지를 공급하겠다는 구상이다. 이 구청장은 “다대포 앞바다는 수심이 얕고 풍향과 풍속이 안정적이라 풍력 발전에 적합하다”며 “지식산업센터에 들어올 첨단 IT 기업이 RE100 기준 충족 등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지역 주민은 소음과 전자파 등 주민 피해 가능성과 철새 서식지 파괴, 어촌 선박 운행 방해 등을 우려하면서 반발한다. 구는 다대포항을 기준으로 육지와의 거리가 4㎞ 이상 떨어져 소음과 전자파 피해 가능성이 작다고 보지만, 주민은 몰운대유원지를 기준으로 하면 거리가 1.5㎞ 밖에 안돼 피해를 받을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보인다.
또 주민 설명회 등 동의를 구하는 과정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다대1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열린 주민 설명회가 마지막으로 당시 확대 추진 계획은 공유되지 않았다. 주민모임인 ‘다대포유’ 최상호 위원장은 “소음과 저주파로 주민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건 물론이고 전국 최대 규모의 철새도래지 입구인 다대포 일대의 환경 변화로 철새 생태계 파괴까지 이뤄질 것이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구는 주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구청장은 “오는 6월 늦어도 9월까지 사하구민을 대상으로 하는 주민설명회를 직접 주재해 사업 필요성 등의 이해를 구하고, 지역 발전기금과 전기료 감면 등 주민에게 돌아갈 혜택을 최대한 마련해 주민 설득에 나서겠다”며 “대규모 해상풍력이 지역 발전을 견인하는 동시에 관광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경관 배치나 야간 조명 등 디자인 구상도 신경 쓸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