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신문을 읽다보면 가슴이 서늘해질 때가 있다. 같은 사건에 대해 너무나도 다른 시각의 기사를 접할 때가 바로 그때이다. 기사의 내용을 취하는 것은 당연히 신문 독자의 몫이겠지만, 얼마나 객관적이냐는 부분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기자의 눈과 신문사의 편집 방향에만 의존해야하는 독자 입장에선 난감할 때가 있다. 특히 어떤 사건에 대한 시선이 신문사마다 극단적인 차이를 보이거나 그러한 기사들이 빈번히 등장할 때는 더욱 그러하다.
예를 들면 최근 여야 간 극한 대립을 보이고 있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동의안과 관련된 기사가 대표적이다. 국제신문에서도 FTA 관련 소식들을 계속 관심 있게 다뤄주었다. 특히 10월 31일 자에서는 최근 여야 갈등의 핵심으로 떠오른 투자자국가소송제도(ISD)에 대해 간략하면서도 쉽게 풀어주었고, ISD에 대한 여야 간의 상반된 입장을 잘 정리해주어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그리고 20일 자 사설에서는 정치권의 잘못으로 FTA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가 부족함과 그로 인한 혼란스러움을 짚어주었다. 또한 우리의 미래가 걸린 중대사인 만큼 정파적 이해를 벗어나 국익 차원에서 지혜로운 합의를 이끌어내야 함을 역설하며 독자들의 불안한 마음을 대신해주었다.
수출이 많아져 경제가 나아질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과 우리나라 공공정책이 무력화될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이 만들어내는 여야 갈등들이 한동안은 신문 지면에 오르내릴 것 같다. 사실보도도 중요하지만 독자를 배려한 상세한 풀이들을 담은 기사를 계속 접할 수 있기를 바란다.
며칠 전에 지역 시민단체들이 허남식 부산시장의 재임 8년 시정에 대한 평가 및 비판의 자리를 갖는다는 소식을 접했다. 부산시의 공공개발이 계획성 없는 난개발로 이루어졌다는 것이 중점 내용이었는데, 국제신문에서도 계속 제기된 문제였으며 시민들도 우려의 마음들을 갖고 있던 부분이었다. 그동안 부산시는 무리한 건설개발로 지자체 및 주민들과 많은 갈등을 빚었으며 성냥갑으로 둘러친 듯 바다로 향한 시민들의 시야를 가려버렸다. 그럼에도 해운대 관광리조트 건설과 광안리 초고층 개발이 또다시 기다리고 있다니 심히 걱정된다. 시정이 펼쳐지고 난 후의 평가와 비판도 물론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미 들어선 건물을 옮기거나 허물기는 정말 어렵다. 시행착오로 치러야할 대가가 너무 큰 것이라면 사전에 관심을 가지고 부적절함을 지적해야할 일이다. 그런 점에서 차후에 이루어질 개발 관련 문제에 대한 국제신문의 역할을 깊이 고민해주면 좋겠다. 사실보도, 나아가 심층보도도 의미있는 역할이겠지만 시민들의 의견을 모아 전달해주는 방법들에 대한 고민을 좀 더 적극적으로 해 주길 바라는 마음이다.
10월3일 자 1면에 정부의 심해자원 생산용 해양플랜트 개발 예산 삭감으로 세계가 눈독 들이는 시장의 주도권을 뺏기게 됐다며, 부산지역 조선해양기자재 업계의 경쟁력 약화를 염려한 기사가 실렸다. 그런데 11일 자에 부산시가 대기업 유치를 위해 1800억 원을 푼다는 소식과 18일 자 가덕도 카지노 리조트 건립 계획이 이어 실렸다. 그것도 모두 1면에 자리를 차지했다. 신문 기사가 새로운 소식을 담아내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한 방을 터뜨리려는 부산시의 연이은 시정 남발로 비춰지는 것은 왜일까? 대기업 유치가 지역에 큰 힘이 될 것이라는 것은 의심할 바가 없다. 하지만 정부 예산 삭감에 걱정하는 지역 조선해양기자재 업체들의 모습을 뒤로하고, 혜택 없다고 외쳐대는 선도기업 지정 업체들의 목소리를 뒤로하면서 새로운 일만 더 벌이려하면 안될 일이다. 전국에서 가장 비싸다는 공공요금을 지불하고, 3년 연속 국비지원 감소를 감내하며, 높은 비정규직 비율과 실업률을 견뎌내는 부산시민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부산시정을 기대하는 마음 간절하다. 그러므로 부산시민단체에서 의정 모니터단을 가동한다니 국제신문에서도 그들의 활동 모습과 모니터 내용들을 독자들이 접할 수 있게 담아주면 고맙겠다. 주부
※사외 필자의 견해는 본지의 제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