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동부지방 대지진의 참상 때 일본인이 보여준 침착함과 질서의식은 세계인의 경탄과 존경의 대상이 되었다. '인간정신의 진보'라고 표현한 서구의 언론도 있었다. 그 관점은 서구적인 관점이고 오히려 일본적인 심성의 발현이라고 보아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이번의 대재난 시에 일본인이 보여준 자세는 일본인 특유의 사생관과 종교관, 여기에 바탕을 둔 어린시절부터의 철저한 가정교육에서 원인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일본을 무신론의 나라라고 주장한 유명 목사님도 계셨지만 일본은 신이 너무 많은 나라이다. 무려 800만이 넘는다. 일본인은 자연을 신으로 생각한다. 인간 또한 죽어서 신이 된다고 믿는다. 일본인 대다수의 종교인 신도(神道)는 조상숭배의 종교이다. 한국인도 조상을 숭배하지만 한국인이 숭배하는 조상은 자기 혈통의 조상이다.
일본인들이 숭배하는 조상은 자신의 조상이 아니라 국가의 선조들이다. 그 정상에는 천황이 있다. 일본인들은 천황을 '태양의 여신(아마테라스오이카미)'의 후예라고 믿는다. 만세일계(萬世一系)의 천황이 제사장이 되는 종교가 신도(神道)인 것이다. 사람이 죽어서 신이 되지만 후대에 신으로 모셔지는 사람은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친 사람들이다. 야스쿠니신사는 메이지유신 후 국가를 위해 전사한 영령들을 모시는 신사이다. 죽어서도 자신을 기억해주고 신으로 추앙한다는 것을 믿기 때문에 일본인들은 국가를 위해 의연히 죽음의 길로 나아가는 것이다. 일본인들이 혈연주의 보다 공의(公義)를 더 중요시하는 것은 이러한 종교관 때문인 것이다.
일본인의 정신세계를 형성한 또 하나의 요소는 무사도이다. 무사도는 충절과 용기라는 기본적 덕목 외에 예의와 염치라는 도덕관을 가지고 있다. 예의는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는 것"이고 염치는 "부끄러움을 아는 것"이다. 일본의 가정에서는 어릴 때부터 자녀들에게 "남에게 폐 끼치지 않기"와 "부끄러움을 알기"를 철저히 교육시킨다. 일본인들은 부끄러움을 당하고 명예를 손상당하는 일이 생기면 흔히 할복을 택했다. 목숨보다 명예가 소중하다는 것이 무사도정신이다.
하지만 일본정신의 가장 큰 단점은 보편성의 부족에 있다. 일본이 훌륭한 과학자와 정치가를 많이 배출했지만 뛰어난 종교가와 철학자가 드문 것은 보편성과 추상성의 부족 때문일 것이다. 보편성의 부족은 폐쇄성과 배타성을 가져왔다. 독일과 달리 일본이 아직도 침략전쟁에 대한 반성이 부족한 것은 보편적인 인류정신의 진보라는 의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진에 뒤이은 원전사고는 일본정부의 비효율성을 드러내었다. 그래도 일본국민은 정부를 믿는다. 일본정부는 최소한 국민을 속이거나 거짓말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거짓말을 하거나 믿음이 없는 정부는 장기적으로 가장 비효율적인 정부다.
일본의 미래는 과거의 우월감에 사로잡힌 일부 정치인들이 아니라 다나카상, 모리상, 나카무라상 같은 서민들에게 달려있다. 메이지유신 때까지 일본의 서민들은 성(姓)이 없었다. 유신 후 일본의 관리들은 서민들이 사는 장소에 따라 적당히 성을 만들어 주었다. 들판에 사는 사람은 다나카(田中)상, 숲에 사는 사람은 모리(森)상, 마을 복판에 사는 사람은 나카무라(中村)상이 되었다. 이들은 순박하고 정직한 사람들이다. 정치인들과 달리 이런 서민들이 한류에 열광하고 한국의 연예인에게 열광한다. 이것은 과거에 없었던 일이었다. 이들에게서 개방적이고 글로벌한 미래의 일본의 모습을 볼 수 있지 않을까.
일본인들은 은(恩)과 의리(義理)의 관계에 철저한 민족이다. 은(恩)을 입으면 반드시 갚아야 하는 것이 의리이다. 일본에는 "기리(의리)는 쓰라린 것"이라는 속담까지 있다. 근대 일본의 대표적 소설가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에 주인공이 미운녀석에게 보복을 해야 하는데 과거 빙수 한 그릇 얻어먹은 은(恩) 때문에 고민하는 장면이 있다.
이번 대지진 때 보여준 한국인의 인간애는 일본인들을 감동시킨 것 같다. 한국과 일본은 가장 가까운 이웃이면서도 마음의 벽을 쌓고 살아왔다. 이번에 역사의 피해자인 한국인이 먼저 마음의 문을 열었다. 일본인들도 개방적이고 평화로운 이웃이 되는 것이 이에 답하는 길일 것이다.
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