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시절 맛보기로 시작한 승마가 지금은 매일 새벽 필자의 운동이 됐다. 주말이면 낙동강이나 금정산 임도로 말을 타고 달린다. 건강을 위해서다. 에너지 소모량이 격한 운동에 비해 손색이 없다. 업무로 쌓인 스트레스 해소와 저녁 만찬으로 불어나는 체중 관리에도 효과적이다. 승마로 나 자신을 경영한다.
경영의 4요소는 목표 전략 사람 자본이다. 따라서 경영이란 사람과 자본을 활용해서 목표를 전략적으로 달성하는 모든 과정이다. 기업 대학 등 모든 조직의 활동은 경영이다. 자신의 목표대로 살아가는 개인의 삶도 경영이다. 경영의 영어 ‘management’는 손을 뜻하는 라틴어 ‘manus’를 어원으로 하는 마네기아레(maneggiare)에서 유래됐다. 마네기아레는 말고삐로 말을 다뤄 목표지점에 도달하는 기술이다. 말을 다루는 승마술이 바로 경영인 것이다. 이는 서양의 역사를 이해하면 알 수 있다.
바다의 신 포세이돈은 말을 창조해 사람에게 마술을 가르치고 경마를 시작한 말의 수호신이었다. 그리스의 영웅 오디세우스 아킬레스 아가멤논 헥토르는 모두 경마의 우승자였다. 당시 전쟁은 기마부대의 기동력에 의해 승패가 결정됐다. 소크라테스의 제자 크세노폰(기원전 431~354년)은 말에 관한 저서 ‘기마술’과 ‘기병대 사령관’을 남겼다. 당시 그리스는 약 1000명의 기병을 유지하였다고 한다.
기병대 사령관의 역할은 뛰어난 기병을 모집해 승마술을 가르치는 것이다. 기병의 말(言)을 듣지 않고 마음대로 날뛰는 말은 퇴출시킨다. 그리고 기병의 전술과 전투 방법, 중간 지휘자의 역할, 기병과 보병의 연합전술 등을 책에 자세히 적고 있다. 기병사령관은 말(言)과 행동은 물론 기병대의 시의적절한 활용, 탁월한 전술과 실행 능력 등 모든 면에서 능력이 출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오늘날의 최고경영자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차이가 없다.
승마는 유럽에서 전통적으로 왕자의 교육에 활용됐다. 승마에서 기수는 보통 통치자나 군주이고 말은 백성을 뜻한다. 승마를 통해 체력 용기 결단력 통솔력 등의 리더십을 길러 백성을 잘 다스리기 위함이었다. 명마 구입, 조련 및 관리 비용이 많이 들어 보통 사람이 할 수 있는 스포츠는 아니었다. 그러나 이제 보편적인 스포츠가 되고 있다. 정부의 다양한 승마 육성 지원책 덕택이다. 말 육종 산업육성, 승마체험과 관광 활성화, 공공 승마시설 지원, 유·청소년 승마교육센터 및 전문인력양성기관 육성 등이다. 부산에도 승마스쿨이 여러 곳 있다. 골프와 요트에 비하면 비싼 편은 아니다. 말 육종 산업이 활성화돼 말 가격이 저렴해지면 비용은 더욱 낮아질 것이다.
승마의 장점은 많다. 건강증진, 스트레스 해소, 면역력 강화, 다이어트 효과, 변비 해소, 심폐기능 강화, 우울증 해소, 집중력 증대, 전신 근육 발달, 신체 유연성 강화, 재활치료 효과 등이다. 필자는 축구 배드민턴 수영 등산 요트 골프 경비행기 등 다양한 스포츠를 즐기고 있다. 이들은 장단점이 있다. 스포츠를 통해 길러지는 체력은 보통 8가지다.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평형감각 순발력 민첩성 협응력이다. 달리기는 순발력과 민첩성을 요구한다. 등산은 근력 근지구력과 심폐지구력이 향상된다. 승마는 이 모든 것을 한 번에 기를 수 있다. 승마를 스포츠의 왕이라 하는 이유다.
필자가 생각하는 승마의 장점도 있다. 골프 등산 테니스 등 대부분의 운동이 허리 무릎 엘보우 등 한 곳에 힘이 집중돼 무리가 된다. 필자는 허리와 목 디스크, 무릎 연골 파열로 심한 통증이 있지만 운동으로 기른 튼튼한 근육으로 이겨낸다. 승마는 이러한 통증이 유발되지 않는 운동이다. 승마 덕분에 허리와 목 통증이 오히려 많이 완화됐다. 허리를 반듯하게 세우고 몸의 힘을 완전히 빼기 때문이다. 전립선 치료에도 좋다. 한 시간의 승마는 축구 한게임을 뛰는 칼로리가 소모된다. 긴 시간이 요구되는 골프와 등산과 달리 짧은 시간에도 땀을 낼 수 있고 혼자서 하는 운동이라 시간에 쫓기는 직장인도 할 수 있다.
승마는 올림픽에서 동물과 함께하는 유일한 종목이고, 힘으로 하지 않는 운동이기 때문에 남녀가 함께 겨루는 유일한 종목이기도 하다. 말과 소통을 할 수 없으면 원하는 곳으로 갈 수가 없다. 말과 소통하는 신호는 다양하다. 손을 사용하는 고삐와 채찍, 발을 사용하는 박차와 음성신호 등이 있다. 가장 중요한 신호는 눈과 마음이다. 기수의 눈빛과 마음이 말의 눈과 가슴에 전해져야 한다. 화가 난 상태에서 말을 타면 안 된다.
최근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반려동물은 좋은 대화 상대이자 친구다. 말이라는 친구와 함께 놀면서 건강증진, 자신감과 리더십이 길러지는 멋진 운동이다. 말을 타고 들판을 달려보라. 쾌감은 물론 자신감 충만이다. 동명대의 교과목에 승마를 넣었다. 캠퍼스에 승마장도 만들 것이다. 도심에서 승마 두잉! 상상이 가는가? 하루빨리 캠퍼스에서 말 달리는 학생을 보고 싶다.